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04 17:06 수정 : 2005.03.04 17:06

한나라당 박세일(朴世逸) 의원이 정책위의장에 이어 4일 국회의원직 사퇴서마저 국회에 제출함에 따라 박근혜(朴槿惠) 대표와의 결별 수순밟기를 공식화했다.

박 의원은 작년 17대 총선을 앞두고 ‘탄핵의 후폭풍’으로 한나라당이 누란의 위기에 처했을 때 박 대표가 외부 영입케이스로 ‘모셔온’ 인물로, 그동안 박 대표의 최측근으로 간주돼 왔다.

17대 총선 때는 박 대표와 함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맡으며 ‘유세=박근혜, 정책공약=박세일’로 역할을 분담하는 이른바 ‘양박(兩朴) 체제’를 구축, 열린우리당의 개헌선 확보를 저지하는 ‘성과’를 이뤘다.


총선 이후엔 여의도연구소장과 정책위의장직을 맡으며 박대표 체제의 이념과 정책을 지탱해왔다.

최근 한나라당이 당의 노선을 ‘수구보수’에서 ‘개혁적 보수’로 바꾸고 ‘공동체 자유주의’를 당의 이념으로 제시한 것도 박 의원의 작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두 사람은 헌재의 행정수도 위헌결정에 따른 후속대책을 놓고는 견해차를 좁히지 못해 결국 정치적 결별에까지 이르게 됐다.

박 대표는 ‘대안없이 반대만하는 구태야당’이라는 비난도 피하고 정부여당의 외교.국방을 제외한 전 부처 이전안의 일방통행을 막는 방안으로, 12부4처2청이전안에 대해 합의했다.

박 대표는 “정치와 행정 등 국정운영의 중추적 기능은 서울에 남김으로써 ‘수도’를 지켰다”고 강조했다.

반면, 박 의원은 12부4처2청이전안에 대해 “전체든 부분이든 중앙부처를 쪼개서 옮기는 것은 사실상 수도이전으로 위헌가능성이 있고 행정의 비효율성만 초래하는 만큼 철회해야 한다”면서 국민투표 실시를 주장하면서 양박의 균열은 본격화됐다.

특히 박 대표가 반대파 의원들의 재의결 요구에도 불구하고 지난 2일 본회의에서 행정도시법안을 처리하려 하자 박 의원은 정책위의장 사퇴의사를 박 대표에게 표명했고, 박 대표도 이를 만류하지 않아 두 사람의 관계는 급속히 악화됐다.

박 의원은 이날 의총에서 기존 당론을 철회하지 않으면 의원직도 사퇴하겠다고 배수진을 쳤고 박 대표측은 이같은 태도를 “의원들에게 자신이냐, 박 대표냐 선택을 강요한 행위”라며 불쾌해 했다는 후문이다.

또 박 대표측은 “박 의원이 여야 합의안에 대해 양해를 했다가 막판에 박 대표의 등에 칼을 꽂았다”고 섭섭함을 표출했고, 박 대표는 의총 도중에 박 의원에 대해서 언급하면서는 울먹이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측은 “그동안 당직자라는 위치때문에 언급을 자제해왔지만 반대입장과 국민투표 실시 주장은 계속 펼쳐왔었다”면서 “다만 막판에 박 대표가 여야합의안을 의총에 회부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지는 않겠다고 언급한 것을 합의안에 대해 동의한 것으로 ‘오해’를 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법안 통과 이후 당 지도부가 박 의원 등을 겨냥, “의원직 사퇴 발언에 책임을 지라”며 사퇴를 종용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 것이 사태를 더욱 악화시킨 격이 됐다.

이런 가운데 당 지도부가 4일 당 화합차원에서 포용력을 갖고 사퇴서 제출을 만류키로 방침을 바꾸고, 이재오(李在五) 권철현(權哲賢) 의원 등 반대파도 의원직사퇴 철회를 요구하고 있어 박 의원이 이를 수용할 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