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리실 불손하거나 위압적이어선 안돼” |
"조금이라도 불손하거나 위압적이면 총리실 전체가 비난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각별히 유념해 달라."
이해찬 국무총리가 7일 총리실 확대간부회의에서 `분권형 국정운영' 안착에 따라 부처간 협의.조정기능을 총리실이 총괄하고 있는 것과 관련, 총리실 간부들의 업무 자세에 대해 이같이 주문했다.
이 총리는 우선 총리실의 역할 확대와 관련, "비교적 부처간 조정기능이 많이활성화됐고, 단일 부처가 하기 어려운 사안들을 기획해 내는 기능도 활성화됐다"고평가하면서 "총리실 기능이 확대되다 보니 주목하는 것도 많을 것 같다"고 말했다고이강진 총리 공보수석이 전했다.
그러면서 이 총리는 "총리실 간부들은 각 부서와 협의하고 논의할 때 각 부서의입장을 충분히 이해하면서도 국가와 국정의 기본 방향에 충실할 수 있도록 충분히대화하고 겸손하게 얘기를 들어줘야 할 것"이라며 총리실 직원들의 `낮은 자세'를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이 총리는 `국무조정실의 규모가 비대해졌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 "사법개혁추진위, 규제개혁단, 신행정수도후속대책기획단 등 금년 내지 내년에 끝나는한시적 조직들을 빼면 인원이 많이 늘어난 것은 아니다"며 "오히려 기능에 비해 인원이 많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한편 이 총리는 방폐장 문제 및 새만금 사업 등과 관련한 환경단체의 문제제기에 대해 "정부는 환경을 무시하고 덜 중시하는 것처럼 비쳐진다"며 "하지만 국가의발전수준과 국민의 의식수준을 고려하면 지금 환경단체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친환경적으로 개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전반적으로 환경단체가 환경을 독점하는 현상, `도그마'라고 볼 수 있다"고 전제, "시화호를 자꾸 비교하는데 시화호는 국민소득 수준이 1만달러에 미치지못하던 1980년대에 시작해 90년대에 마무리된 사업"이라며 "정부가 환경문제에 가장미래지향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것을 적극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그는 또한 "새만금 사업, 천성산 문제의 경우 80년대 후반 공사가 시작할 시점에는 환경을 중시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며 "그러나 새만금 토지 같은 경우는 앞으로 국민소득 수준이 4만달러에 가있고 사회전반의 의식수준이 선진국 수준에 가있는20년쯤 후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환경을 등한시 하는 땅으로 개발할 필요도 없고,할 수도 없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