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목희 위원장은 회의 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에서 여러 차례 정부의 협의관행에 대해 문제제기를 했는데도 시정되지 않은 데 대해 적극적으로 정부측에 문제를 제기한 것일 뿐"이라며 "특별히 김근태 장관을 겨냥한 것은 아니다"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 위원장은 이어 "당정협의는 요식절차가 아니라 실질적인 정책결정과정이 돼야 한다"며 "정부측이 협의과정에서 좀더 당을 중시하는 모양새를 갖춰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당정은 이날 차관회의 14일 이전에 당정협의를 갖도록 한 국무총리 훈령에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보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키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
“이런 일 없도록…” 친정서 ‘면박’당한 김근태 장관 |
여권의 차기 대권주자중 한 명인 김근태 보건복지 장관이 11일 보건관련 당정협의회에 참석했다가 `친정' 식구들의 질책을 받았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우리당 정책위 팀과 식품안전기본법 제정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여당측으로부터 "당정협의 절차를 제대로 지켜달라"는 지적을 받았다.
원혜영 정책위의장은 "정부가 최소한의 절차조차 이해하지 못하고 차관회의에서 법안을 통과시킨 다음 입법 전 단계로 집권여당 의원들한테 상정했다"며 "정부의 태도를 보면 근본적 회의를 갖게 한다"고 말했다.
이목희 제5정조위원장도 "식품안전기본법에 대체로 동의한다"고 전제한뒤 "그러나 당에서 누차 강조했는데도 차관회의 이전에 당정협의를 거쳐야 한다는총리훈령을 지키지 않은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한다"고 거들고 나섰다.
당 정책위는 그동안 정부측이 각종 정책이나 법안의 추진시 차관회의 전에 당정협의를 열어 당정회의가 형식상의 추인의 자리가 아니라 실질적인 논의의 장이 될수 있도록 촉구해 왔다.
그러나 이같은 요구가 빈번히 묵살되는데 불만을 갖고 있던 차에 이날 당정회의주제인 식품안전기본법도 같은 관행을 되풀이하자 한꺼번에 불만을 털어놓은 것으로 보인다.
정부측 참석자들은 애써 담담한 자세로 이 법안의 3월 제출계획을 설명했으나우리당의 공개적 비판에 대해 당황해하는 빛이 역력했다.
다소 얼굴색이 붉어진 김근태 장관은 공개된 회의내내 별다른 말을 하지 않았으나 비공개회의에서는 "잘못했다. 이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몸을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이목희 위원장은 회의 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에서 여러 차례 정부의 협의관행에 대해 문제제기를 했는데도 시정되지 않은 데 대해 적극적으로 정부측에 문제를 제기한 것일 뿐"이라며 "특별히 김근태 장관을 겨냥한 것은 아니다"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 위원장은 이어 "당정협의는 요식절차가 아니라 실질적인 정책결정과정이 돼야 한다"며 "정부측이 협의과정에서 좀더 당을 중시하는 모양새를 갖춰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당정은 이날 차관회의 14일 이전에 당정협의를 갖도록 한 국무총리 훈령에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보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키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이목희 위원장은 회의 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에서 여러 차례 정부의 협의관행에 대해 문제제기를 했는데도 시정되지 않은 데 대해 적극적으로 정부측에 문제를 제기한 것일 뿐"이라며 "특별히 김근태 장관을 겨냥한 것은 아니다"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 위원장은 이어 "당정협의는 요식절차가 아니라 실질적인 정책결정과정이 돼야 한다"며 "정부측이 협의과정에서 좀더 당을 중시하는 모양새를 갖춰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당정은 이날 차관회의 14일 이전에 당정협의를 갖도록 한 국무총리 훈령에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보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키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