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3.11 18:32
수정 : 2005.03.11 18:32
일본 후소사판 역사교과서를 상대할 ‘대항마’가 나온다. 바로 <한·중·일이 함께 쓴 미래를 여는 역사> 교과서다. 2002년 3월부터 꼬박 3년간 세 나라 역사학자 및 교사, 시민단체 관계자 등 연인원 200여명이 이 역사적인 역사교과서 작업에 참여해 왔다.(본지 매주 수요일치에 요약 연재 중)
대표 집필위원은 한국에서 서중석 성균관대 교수 등 12명, 일본은 오비나타 스미오 와세다대 교수 등 14명, 중국은 부핑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장 등 10명으로, 모두 36명이다. 세 나라 근현대사의 최고 권위자들을 총망라한 셈이다.
책은 집필과 토론, 수정을 거듭해 오는 5월18일께 한·중·일 세 나라에서 동시에 출간된다. 한국은 한겨레신문사 출판부, 중국은 중국사회과학원 출판부, 일본은 고분켄(高文硏) 출판사가 맡았다.
중등 교과과정에 맞춘 이 교과서는 18세기부터 1980년대까지 동아시아 근현대사를 300여쪽에 걸쳐 서술하고 있다. 일제의 침략과 지배, 이에 대한 동아시아 민중의 저항을 상술하면서도, 각 민족국가 내부를 ‘역지사지’로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국경을 넘어선 동아시아사의 관점, 나아가 세계시민의 관점에서 제국주의·이념대립 등으로 얼룩진 지난 한 세기를 함께 살피도록 한 것이다. 그 밑바탕에는 △제국주의와 패권주의 반대 △평화와 인도주의 △세계 시민의식의 확산 △동아시아 역사인식의 확대 등의 정신이 흐르고 있다.
세 나라 지식인이 공동교과서 발간에 합의한 2002년 3월 난징학술대회는 애초 후소사판 교과서의 역사왜곡에 대한 비판·성찰을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역설적으로 후소사판 역사교과서가 한·중·일 공동 역사책의 산파역을 한 셈이다. 아예 출판 시점도 후소사판 교과서에 대한 문부성 검정이 끝나는 때로 맞춰 표적을 분명히했다. 이제 이 공동교과서를 활용한 역사교육을 확대하기 위해 교육·시민운동이 뒤를 이어 펼쳐질 것이다.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일본교과서 검정절차는
사용 2년전 원본제출 → 1년전 검정결과 발표
일본의 교과서는 문부성의 검정 절차를 통해 규제를 받는다. 문부성은 교과서로 사용하기 2년 전에 출판사로부터 교과서 원본을 제출받아 학교에서 사용할 만한지 여부를 가린다. 그리고 사용하기 1년 전에 검정 결과를 발표하며, 6개월 전에는 전시회를 열어 각 학교의 선택을 돕는다.
우익의 역사관을 대변한 문제의 후소사 교과서는 내년 4월 봄학기부터 사용된다. 문부성은 지난해 4월 신청본을 받아 1년간 검정 작업을 해왔다. 검정을 신청한 교과서는 후소사를 포함해 모두 8종인데, 검정 결과는 다음달 초 발표된다.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는 8월까지 각 학교에서 채택된다. 중학교 교과서의 경우 국립과 사립학교에서는 학교장이, 공립학교에서는 그 지역 교육위원회가 채택 여부를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각 출판사는 채택률을 높이기 위해 치열한 판촉전을 펼친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과거의 역사교과서 왜곡 파문이 재현되는 것을 우려해 이번엔 검정 신청본이 검정 결과 발표 전에 외부에 알려지는 것을 철저히 막았다. 4년 전 후소사 교과서 신청본은 신청 당시부터 미리 알려져 논란을 빚었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10월 비공식 경로로 신청본을 입수해 면밀한 분석 작업을 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