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3.14 15:44
수정 : 2005.03.14 15:44
현재로선 주일대사 소환 계획 없어
정부 고위당국자는 14일 "귀국한 다카노 도시유키(高野紀元) 주한 일본대사가 최근 한국의 상황과 한일관계를 외무상과 그 윗선의 고위층에 보고할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다카노 대사가 귀국 전에 우리 정부에 `간다'는 얘기를 했고 실무차원에서 우리 정부의 입장이 전달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주한 일본 대사관 측도 이날 다카노 대사의 귀국 목적에 대해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시도와 우익의 교과서문제와 관련해) 최근 한국의 상황을 보고하고 향후 어떻게 대응할 지를 협의하기 위해 간 것"이라며 "다음주 정도에 돌아올 것"이라고 확인했다.
이 당국자는 또 라종일 주일대사의 소환 여부에 대해 "한일관계가 어려워질수록 주일대사의 할일은 많아질 것으로 보이며 전체를 보고 결정해야 할 문제"라고 말해 현재로서는 소환 계획이 없음을 시사했다.
이 당국자는 또 독도문제에 대해 "국제법, 지리적, 역사적으로 분명한 우리 고유 영토이기때문에 협의.협상의 대상이 아니다"고 못박고, "독도 주권을 확실히 하는 조치를 문화재청과 협의해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안과 관련, "현재로선통과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그간 일본 측에 여러차례 (조례가 만들어져서는안된다고) 얘기해왔으나 그래도 강행을 하니..."라며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그는 이어 일본 보수 우익계열의 역사왜곡 교과서에 대해 "다음 달 문부과학성의 검정결과가 나오면 그 최종본에 대해 계속 문제제기를 해갈 것"이라며 "교육부차관을 중심으로 범정부 차원의 대책반이 구성돼 내일 대책 협의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우리 정부의 대응에도 한계가 있으며 일본 스스로 알아서 해야 할문제라는 점에서 일본 정부의 각성을 촉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독도문제는 일본 정부도 `자기 땅'이라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우리와는 한일 정부간에 이견이 있는 것이고, 역사교과서 문제는 일본 정부가 아닌 일부의 행동이라는 점에서 대응을 달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핵문제와 관련,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동북아 방문이 종료되고 그 다음에도 북한 측에서 아무런 반응이 없는 상황이 된다면 우리로서는 가장 어려운 상황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