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 미묘…의도 파악중 일본 항공 자위대의 RF-4 정찰기 1대가 16일 낮 12시22분께 독도 바깥에 있는 한국 방공식별구역(KADIZ) 동남쪽 10마일까지 접근했다가 공군의 경고 통신을 듣고 되돌아갔다고 합동참모본부가 17일 밝혔다. 일본 항공기가 접근한 곳은 독도로부터 36마일 떨어진 곳이다. 합참은 일본 자위대 소속 정찰기가 이날 낮 12시7분께 독도 외곽 80마일 거리의 고도 2만5천피트에서 공군 제2 중앙방공통제소에 포착됐으며, 12시20분께 ‘즉시 선회하여 기수를 변경하라’는 우리 공군의 경고 통신을 세 차례 받은 뒤, 12시22분께 기수를 일본쪽으로 돌렸다고 밝혔다. 합참은 이날 훈련비행을 하던 F-4 팬텀기 2대에게 훈련공역의 변경 지시를 내려 독도 쪽으로 향하도록 했지만, 임무 전환은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합참은 “일본 정찰기가 한국 방공식별구역 근방까지 비행한 사례는 과거에도 자주 있었다”며 “이번 일본 정찰기도 일본 방공식별구역(JADIZ)을 벗어나지 않았으며, 독도 문제가 본격 제기되기 이전에는 일본 방공식별구역 안에서 활동하는 일본 항공기에 대해서는 특별히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밝혔다. 합참 설명으로는 한국 방공식별구역 동남쪽 25∼50마일 공역에 일본 항공자위대 훈련 공역이 있다. 군 당국은 일본 시마네현 의회가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을 통과시킨 직후 일본 정찰기가 한국 방공식별구역에 근접 비행한 배경과 의도를 정밀 분석하고 있다. 일본은 현재 2∼3개의 정찰용 광학카메라를 동시에 장착한 RF-4 정찰기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8일 일본 아사히신문 소속 경비행기(C-560) 1대가 한국 방공식별구역 1마일까지 접근한 데 이어, 9일에는 일본 해상보안청 초계기(AC-95) 1대가 한국 방공식별구역 8마일까지 근접 비행해 공군 전투기가 긴급 출동하기도 했다.김성걸 기자 skkim@hani.co.kr
|
일 정찰기 독도외곽 출현 |
합참 “과거에도 빈번해”
시기 미묘…의도 파악중 일본 항공 자위대의 RF-4 정찰기 1대가 16일 낮 12시22분께 독도 바깥에 있는 한국 방공식별구역(KADIZ) 동남쪽 10마일까지 접근했다가 공군의 경고 통신을 듣고 되돌아갔다고 합동참모본부가 17일 밝혔다. 일본 항공기가 접근한 곳은 독도로부터 36마일 떨어진 곳이다. 합참은 일본 자위대 소속 정찰기가 이날 낮 12시7분께 독도 외곽 80마일 거리의 고도 2만5천피트에서 공군 제2 중앙방공통제소에 포착됐으며, 12시20분께 ‘즉시 선회하여 기수를 변경하라’는 우리 공군의 경고 통신을 세 차례 받은 뒤, 12시22분께 기수를 일본쪽으로 돌렸다고 밝혔다. 합참은 이날 훈련비행을 하던 F-4 팬텀기 2대에게 훈련공역의 변경 지시를 내려 독도 쪽으로 향하도록 했지만, 임무 전환은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합참은 “일본 정찰기가 한국 방공식별구역 근방까지 비행한 사례는 과거에도 자주 있었다”며 “이번 일본 정찰기도 일본 방공식별구역(JADIZ)을 벗어나지 않았으며, 독도 문제가 본격 제기되기 이전에는 일본 방공식별구역 안에서 활동하는 일본 항공기에 대해서는 특별히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밝혔다. 합참 설명으로는 한국 방공식별구역 동남쪽 25∼50마일 공역에 일본 항공자위대 훈련 공역이 있다. 군 당국은 일본 시마네현 의회가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을 통과시킨 직후 일본 정찰기가 한국 방공식별구역에 근접 비행한 배경과 의도를 정밀 분석하고 있다. 일본은 현재 2∼3개의 정찰용 광학카메라를 동시에 장착한 RF-4 정찰기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8일 일본 아사히신문 소속 경비행기(C-560) 1대가 한국 방공식별구역 1마일까지 접근한 데 이어, 9일에는 일본 해상보안청 초계기(AC-95) 1대가 한국 방공식별구역 8마일까지 근접 비행해 공군 전투기가 긴급 출동하기도 했다.김성걸 기자 skkim@hani.co.kr
시기 미묘…의도 파악중 일본 항공 자위대의 RF-4 정찰기 1대가 16일 낮 12시22분께 독도 바깥에 있는 한국 방공식별구역(KADIZ) 동남쪽 10마일까지 접근했다가 공군의 경고 통신을 듣고 되돌아갔다고 합동참모본부가 17일 밝혔다. 일본 항공기가 접근한 곳은 독도로부터 36마일 떨어진 곳이다. 합참은 일본 자위대 소속 정찰기가 이날 낮 12시7분께 독도 외곽 80마일 거리의 고도 2만5천피트에서 공군 제2 중앙방공통제소에 포착됐으며, 12시20분께 ‘즉시 선회하여 기수를 변경하라’는 우리 공군의 경고 통신을 세 차례 받은 뒤, 12시22분께 기수를 일본쪽으로 돌렸다고 밝혔다. 합참은 이날 훈련비행을 하던 F-4 팬텀기 2대에게 훈련공역의 변경 지시를 내려 독도 쪽으로 향하도록 했지만, 임무 전환은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합참은 “일본 정찰기가 한국 방공식별구역 근방까지 비행한 사례는 과거에도 자주 있었다”며 “이번 일본 정찰기도 일본 방공식별구역(JADIZ)을 벗어나지 않았으며, 독도 문제가 본격 제기되기 이전에는 일본 방공식별구역 안에서 활동하는 일본 항공기에 대해서는 특별히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밝혔다. 합참 설명으로는 한국 방공식별구역 동남쪽 25∼50마일 공역에 일본 항공자위대 훈련 공역이 있다. 군 당국은 일본 시마네현 의회가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을 통과시킨 직후 일본 정찰기가 한국 방공식별구역에 근접 비행한 배경과 의도를 정밀 분석하고 있다. 일본은 현재 2∼3개의 정찰용 광학카메라를 동시에 장착한 RF-4 정찰기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8일 일본 아사히신문 소속 경비행기(C-560) 1대가 한국 방공식별구역 1마일까지 접근한 데 이어, 9일에는 일본 해상보안청 초계기(AC-95) 1대가 한국 방공식별구역 8마일까지 근접 비행해 공군 전투기가 긴급 출동하기도 했다.김성걸 기자 skkim@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