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수석은 그러나 `향후 최 위원장과 비슷한 사례의 경우 인사검증 과정에서 어떻게 반영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판단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청와대가 최 위원장의 부동산 문제를 사전 인지하고도 어떤 자리보다 도덕성이 요구되는 국가인권위원장에 임명한 것에 대해 자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한 관계자는 "공직자의 도덕성에 대한 국민과 정부의 눈높이가 다르다는 비판여론이 높다"고 말했다. 거취 문제를 놓고 깨끗하게 결단을 내리지 못한 최 위원장의 처신과 관련해서도못마땅하다는 반응도 감지됐다. 한 핵심 관계자는 "국민 여론에 따라 상식적으로 판단해야 했다"며 아쉬워했다. (서울/연합뉴스)
|
청와대 최 인권위원장 사퇴 곤혹 |
최영도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이 19일 부동산 투기의혹과 관련, 취임한 지 불과 두 달 보름여 만에 사의를 표명하자 청와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대통령이 임명하는 고위공직자가 불투명한 재산형성 문제와 관련해 사퇴한 경우가 지난 1월 이기준 교육부총리와 이달초 이헌재 경제부총리를 포함해 올들어서만 벌써 3번째이기 때문이다.
일단 최 위원장의 사표는 수리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전해졌다.
최위원장은 이미 18일 밤 간부들에게 "물러나고 싶다"는 뜻을 밝힌 뒤 간접적으로 청와대측에 사의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핵심 관계자는 "아직 대통령에게 사퇴표명에 관한 정식 보고가 이뤄지지 않아 단정할 수 없지만 결국 수리되는 쪽으로 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청와대는 그러나 사표수리 여부보다 최근 경제부총리 인선 과정에서 `여론재판'논란이 불거진 터라 인사검증 시스템이 또다시 여론의 도마위에 오르지 않을까 걱정하는 모습이었다.
문재인 청와대 민정수석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번 사태에 대해 "아주 착잡한 심정으로 보고 있다"며 곤혹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문 수석은 "최 위원장에 대해 제기된 의혹과 관련해서는 이미 검증과정에서 사실 확인을 했다"며 "그러나 (위장전입 시기가) 1982년으로 아주 오래된 일이고, 그이후 헌신적인 사회봉사 활동을 해왔기 때문에 `(발탁대상에서) 배제할 만한 사유'가 아니라고 판단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문 수석은 그러나 `향후 최 위원장과 비슷한 사례의 경우 인사검증 과정에서 어떻게 반영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판단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청와대가 최 위원장의 부동산 문제를 사전 인지하고도 어떤 자리보다 도덕성이 요구되는 국가인권위원장에 임명한 것에 대해 자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한 관계자는 "공직자의 도덕성에 대한 국민과 정부의 눈높이가 다르다는 비판여론이 높다"고 말했다. 거취 문제를 놓고 깨끗하게 결단을 내리지 못한 최 위원장의 처신과 관련해서도못마땅하다는 반응도 감지됐다. 한 핵심 관계자는 "국민 여론에 따라 상식적으로 판단해야 했다"며 아쉬워했다. (서울/연합뉴스)
문 수석은 그러나 `향후 최 위원장과 비슷한 사례의 경우 인사검증 과정에서 어떻게 반영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판단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청와대가 최 위원장의 부동산 문제를 사전 인지하고도 어떤 자리보다 도덕성이 요구되는 국가인권위원장에 임명한 것에 대해 자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한 관계자는 "공직자의 도덕성에 대한 국민과 정부의 눈높이가 다르다는 비판여론이 높다"고 말했다. 거취 문제를 놓고 깨끗하게 결단을 내리지 못한 최 위원장의 처신과 관련해서도못마땅하다는 반응도 감지됐다. 한 핵심 관계자는 "국민 여론에 따라 상식적으로 판단해야 했다"며 아쉬워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