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19 11:54 수정 : 2005.03.19 11:54

역사교과서 검증결과가 분수령될 듯

노무현 대통령이 18일 저녁 청와대 관저에서 조세형, 최상용 전 주일대사를 면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만찬을 겸해 2시간여 동안 진행된 이날 면담에서 노 대통령은 일본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 제정과 우익단체의 역사교과서 왜곡 등 한일 현안과 관련해 의견을 나눴다고 19일 청와대 핵심 관계자가 전했다.

이 자리에는 또한 지난 17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장 자격으로 `한일관계에 대한 새로운 기조와 대응방향'을 발표한 정동영 통일장관과 반기문 외교장관, 문정인 동북아시대위원장이 배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동은 특히 정 장관이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에 대해"한국의 현실을 잘못보고 있다"며 강도높게 비판한 직후 이뤄졌다는 점에서 한일관계 경색에 따른 대응방향을 모색한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노 대통령은 회동에서 대일 관계의 원칙적 기조를 설명하면서 "일단 일본의 반응을 더 주시해보자"는 뜻을 개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노 대통령은 특히 `역사교과서 문제를 일본이 어떻게 다루는지 지켜봐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일본 마치무라 노부다카 외상의 담화와 관련, 이 참석자는 "면담에선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반응이었다"고 전하고 "일본의 반응을 기다리는데, 그 중 구체적인 하나가 역사교과서 될 것"이라고 말해 내달초 이뤄질 중학교용 역사교과서 검정 결과발표가 한일갈등의 화전여부를 결정할 분수령임을 시사했다.

노 대통령은 또 독도문제와 관련해 일본 정부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인 자세를취하면서도 경제, 문화교류 등 양국간 협력관계는 지속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은 "성명에서도 나왔듯이 외교적으로 일상적인 업무는 이번 사안과 별개로 진행하게 돼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에서 제기된 한일어업협정 재협상 주장에 대해서도 별다른 언급이 없었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노 대통령이 주일대사 출신인 두 분을 초청해 한일 관계에 대해 자문을 구하고 조언을 들은 자리"라며 "주로 두 분이 의견을 개진하고 대통령께선 경청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