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 조례추진에
시장 “경솔하다” 반발 일본이 주변국 중 한국만 만만하게 여긴다? 일본이 중국과 영토 분쟁을 겪고 있는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 대해서는, ’센카쿠의 날’ 조례를 만들자는 시의회 의원의 제안을 반발을 우려해 시장이 나서서 적극 저지에 나섰다.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 통과에 이어 일본의 도토리(鳥取)현 의회도 “다케시마는 일본 땅”이라고 주장하며, 일본 정부가 결연한 자세로 한국 정부와 교섭에 나서 신속히 다케시마를 되찾아오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23일 <마이니치 신문>에 따르면, 도토리현 의회는 이날 일본 정부에 대해 독도문제를 조속히 해결할 것을 촉구하는 의견서를 채택했다. 그러나 한국영토 독도에 대한 일본 지방의회들의 이런 움직임과 달리, 일본 지방의회가 중국에 대해서는 전혀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일본 시마네현 의회가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을 하자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는 센카쿠열도를 놓고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 의회에서 ‘센카쿠열도의 날’ (중국명 댜오위다오) 조례를 만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990002%%
23일 미국의 중문 매체 <둬웨이타임스>가 일본 <교도통신>을 인용한 보도와 일본의 스포츠신문(스포니치 아넥스)에 따르면 23일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 의회에서 무소속의 시의원 이라미나 고마코토는 “메이지 정부가 내각회의에서 댜오위다오를 오키나와현에 편입한 1월14일을 ‘센카쿠열도의 날’로 정하자”고 제안했다. 이라미나 의원은 “(센카쿠의 날 조례 제정을 통해) 센카쿠 섬이 일본 고유의 영토인 것을 더 많은 국민들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고 조례 제안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오하마 나가테루 이시가키시 시장은 국제관계를 이유로 조례 제정에 대해 강력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오하마 시장은 “중국 대륙과 대만의 상황을 두고 볼 때 우리는 경거망동해서는 안 되며 시민에 대해서도 유해무익하다”며 “다케시마의 촉발과 마주한 이 시점에서 조례 제정은 경솔한 행동”이라고 반대했다. <한겨레> 온라인뉴스부 김미영 기자 kimmy@hani.co.kr %%990003%%
![]() | ||||
![]() |
■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란?
센카쿠열도는 일본 오키나와에서 약 300㎞, 대만에서 약 200㎞ 떨어진 동중국해 남쪽에 있는 무인도로, 5개의 작은 섬과 3개의 산호초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에서는 댜오위다오(釣漁島), 일본에서는 센카쿠열도(尖閣列島)로 부른다.
센카쿠-댜오위다오 분쟁은 청일전쟁이 일어난 1894년 이전까지 거슬러올라간다. 중국에서는 1873년에 출판된 지도에 중국 영토로 표시되어 있어 당연히 중국 영토라고 주장하는 반면, 일본에서는 1895년 오키나와현에 정식으로 편입된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다.
본격적으로 분쟁이 일어나기 시작한 것은, 대만과 일본 어부들 사이에 고기잡이 문제로 마찰을 일으키면서였는데 1971년 중국과 타이완이 각각 영유권을 주장하고, 이듬해 미국이 오키나와를 일본에 반환함으로써 센카쿠열도는 일본에 귀속되었다.
5개의 섬 중 독도보다 큰 최대 섬인 댜오위다오 근해에 막대한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된 사실이 확인되면서부터 두 나라간의 분쟁은 더 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1978년 중국 어부들이 이 수역에서 조업을 하자 일본 극우단체가 이곳에 등대를 설치하면서 분쟁은 격화되었다. 이에 중국은 대만과 공동 대응을 하기로 하고, 1992년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댜오위다오를 영해에 포함시킨 뒤 이듬해 인근 해역에 해저유전을 시추하고 대규모 항의어선단을 파견했다. 일본도 이에 맞서 경비정을 보내 중국의 해양조사선을 내쫓는 등 이 해역에서 양국이 충돌 직전까지 간 바 있다.
지난해 3월 중국인 7명이 이 섬에 상륙하자 일본이 해안경비대를 동원해 체포하면서 다시 두나라간 긴장이 높아졌다. 중국은 지난해 5월 경계해역에서 가스유전 개발사업을 시작하기도 했다.
| ![]() | ||
![]()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