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8일 한나라당을 탈당한 염홍철 대전시장(왼쪽끝)이 24일 오후 대전 대덕밸리 테크노마트를 방문한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장 일행과 함께 기술거래지원센터를 둘러보고 있다. 대전/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
‘유후보 찬반’이 경선 최대 쟁점으로
“튀는 언행, 차기전략” - “음모론” 갈등 온통 유시민 의원 얘기다. 열린우리당 당의장 선거가 막바지로 치달으면서, 초반의 ‘개혁 대 실용’ 논쟁은 사그라들고, 유 의원에 대한 ‘찬성 대 반대’가 최대 쟁점이 되고 있다. 급기야 김근태 장관과 정동영 장관의 계파를 지칭하는 지티(GT)계와 디와이(DY)계에 이어, 유 의원의 이름을 딴 에스엠(SM)계란 용어가 통용되기 시작했다. ◇ 공천과 기간당원= 유 의원이 최근 <한겨레21>과의 인터뷰에서 “정동영계 용서 못한다”고 공격하면서 정 장관 쪽과의 갈등이 폭발했지만, 그 뿌리는 깊다. 유 의원은 지난해 4·15 총선 전 정 장관이 주도한 공천 내용을 매섭게 몰아붙였다. “정 의장이 전주고 동문들만 챙기는 정실 공천을 하고 있다”거나 “보수적 인사들을 무차별 영입해, 당이 잡탕이 됐다”는 것이다. 유 의원의 조직적 반대운동으로, 민주당에서 건너온 조성준 전 의원은 비례대표에서 탈락했다. 정 장관 쪽은 “당 지지도가 낮은 상황에서 삼고초려 끝에 모셔온 분에 대한 약속을 지키려는 것”이라고 반박했지만, 유 의원과의 감정의 골은 이 때부터 패이기 시작했다. 총선 직후에는 기간당원제를 놓고 대립이 생겼다. 이강래 의원 등 정 장관과 가까운 의원들은 농촌의 현실을 감안해 기간당원의 조건을 완화해야 한다는 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유 의원은 ‘탈당불사’를 외치면서까지, 이를 막아냈다.
이 과정에서 김근태계 의원들이 유 의원의 주장에 동조하면서 연대의 끈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유 의원은 이를 두고 “김근태계는 대부분 재야 활동을 하면서 상향식 민주주의를 훈련받은 사람들이라, 기간당원제를 받아들일 수 있는 문화가 형성돼있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김 장관과 유 의원의 연대가 이어질지는 알 수 없다. 2002년 대통령후보 경선과 민주당 분당 과정에서 유 의원은 김 장관에게 공개적으로 독설을 퍼부어 깊은 상처를 낸 적이 있다. 김 장관은 요즘도 유 의원 얘기가 나오면 얼굴을 찌푸리며 말을 돌려버린다고, 한 의원이 전했다. ◇ 튀는 언행과 야망= 그러나, 이런 노선 대립만으로는 지금의 감정적 대결구도를 다 설명할 수 없다. 총선은 끝난 지 1년이 돼가고, 기간당원제는 이제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유 의원의 ‘작풍’에 있다는 게 여러 사람의 지적이다. 유 의원은 지난 10일 중앙위원회에서 원내와 연구소 당직자들이 자신들에게도 당 의장 투표권을 달라고 요구하자, “옛 소련 공산당의 노멘클라투라처럼 당직자들이 일은 안 하고 특권계급화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당시 이 말을 들은 일부 당직자들은 얼굴이 하얗게 질렸다고 한다. 중앙당 당직자 가운데 25% 가량은 유 의원과 함께 일해온 개혁당 출신이지만, 지금은 상당수가 유 의원과 등을 돌린 상태다. 유 의원은 정장선 의원에게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지”라고 말했다가, 나중에 의원총회에서 공개사과하기도 했다. 유 의원의 이런 독특한 언행에, 일부 네티즌의 열렬한 지지가 겹치면서 당내 많은 의원들 사이에 ‘유시민 비토론’이 커지기 시작한 것이다. 당내 일각에서는 유 의원의 이런 태도가 적과 동지를 명확히 구별해냄으로써, 강고한 지지층을 형성한 뒤 다음 대통령선거에 뛰어들려는 고도의 전략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이런 시각에 대해, 유 의원은 “모든 것을 음모로 파악하려는 궁정정치의 산물”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도 유 의원은 “인격 수양이 덜 돼서…”라고 말했다. 유 의원은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절제되지 않은 분노를 표출한 일이 숱하게 많았다”며 “제가 무언가를 책임지고 결정하는 위치가 아니라, 큰 책임을 가진 분들이 잘못 결정하는 것을 감시하고 견제하고 바로잡아야 하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이라고 밝힌 적이 있다. 그런 유 의원이 오는 4월2일 전당대회에서 큰 책임을 맡는 지도부에 뽑힌 뒤 어떤 태도를 보일지 주목된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