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이 19일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에서 북한의 영변 원자로 가동 중단 등에 대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
반기문 외교 “북 원자로 가동중단 이유 확인해야” 국회 통일외교통상위 19일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에선 북한 영변 5㎿ 원자로의 가동중단으로 6~7월중 한반도에 핵위기가 오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나왔다. 박성범 한나라당 의원은 “영변 원자로 가동중단 이후 (플루토늄 재처리에 필요한) 두달이 지나면 6~7월에 북한의 핵보유량이 늘어날 수 있는 사태가 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최성 열린우리당 의원도 “미국 〈뉴욕타임스〉에서 (가동이 중단된) 영변 원자로의 냉각기간이 핵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 미국이 군사행동을 취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부겸 의원은 “북한이 폐연료봉에서 핵무기용 플루토늄을 추출하면 북핵문제는 엄청난 위기국면으로 치달을수 있다”며 “하루 속히 6자 회담을 재개하는 게 급선무”라고 밝혔다. 이성권 한나라당 의원은 “북한이 6월까지 6자 회담에 복귀하지 않으면 미국은 대북제재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6월위기설’이 있다”며 “미국이 6자 회담의 최종시한을 6월 말로 거론하거나 유엔 안보리 회부 등 다른 선택을 요구할 경우 정부의 대책은 뭐냐”고 따졌다. 이에 대해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영변 원자로 가동 중단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미국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며 “연료봉을 빼내기 위해 가동을 중단한 것인지, 기술적인 문제가 있어서 가동을 중단한 것인지 살펴봐야 한다”고 답했다.
반 장관은 또 “북핵문제를 유엔 안보리에 회부하는 문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진행되는 바는 없다”며 “6자 회담 틀 안에서 북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