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5.01 21:54 수정 : 2005.05.01 21:54

■ 4.30 재보선 열린우리당 ‘참패’
여론조자서 52%지지…탄핵 직후와 비슷
“대통령-여당 지지기반 다르기 때문” 분석
“선거쟁점 아니었다” “분권 결과” 견해도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는 50%가 넘는데, 대통령이 속한 여당은 참패했다.’

양립할 수 없을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4·30 재보궐선거에서 나타났다.

과거 김영삼, 김대중 대통령의 경우는 집권 초기 최고 정점을 이뤘던 지지도가 전반적인 하향추세를 보였고, 그 결과가 각종 재보선에서 패배로 이어지는 경향이 짙었다. 하지만 노무현 대통령의 지지도는 지난해 10월 20%대로 바닥을 친 이후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1일 청와대에 따르면 2주일 전과 1주일 전에 외부 여론조사 기관에 맡겨 실시한 두 차례의 여론조사 결과 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매우 잘한다’나 ‘잘하는 편’이라는 응답이 평균 52%였다. ‘매우 잘못한다’거나 ‘잘못하는 편’이라는 대답은 평균 45%였다. 지난해 탄핵 직후 노 대통령 지지도인 56%에 거의 육박하는 수치이다.

그런데도 노 대통령이 ‘수석당원’으로 있는 열린우리당이 무참하게 지고 만 ‘괴리 현상’을 놓고,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다양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

김헌태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소장은 “대통령과 당의 지지기반이 다르다”는 진단을 내놓았다. 최근 노 대통령 지지세력에는 전통적인 개혁성향에 ‘서민층’이 새로 결합했다는 것이다. 김 소장이 말하는 서민층이란 생활수준이 낮으면서도 박정희 향수를 지니고, 옛 여권의 정서를 지닌 계층을 말한다. 노 대통령이 최근 정국을 안정기조로 끌고 가면서, 이들이 노 대통령 지지대열에 합류했지만, 열린우리당 지지로까지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는 것이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노 대통령 지지도는 내치를 기반으로 해서 올라간 것이 아니라, 일본과 미국과의 관계에서 민족적 자존심을 세우면서 형성된 것이라, 경제 등 국내문제가 주요 쟁점인 선거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을만큼 강력하지 않다”고 말했다.


홍 소장은 또 김영삼, 김대중 대통령이 당과 정부를 모두 장악하고 그 책임까지 떠맡은 것과 달리, 노 대통령은 분권이라는 국정기조 아래 총리와 당에 많은 권한을 넘김으로써, 대통령의 지지도가 상대적으로 독립성을 띄게 되었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서는 이근형 청와대 여론조사 비서관도 동의하고있다. 그는 “지난해 총선과는 달리 열린우리당이나 한나라당 모두 이번 선거에서는 노 대통령을 쟁점으로 끌어들이지 않았다”며 “이번 재보선은 대통령에 대한 판단이 아니라 철저하게 후보의 특성이 반영된 선거”라고 평가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이밖에도 열린우리당 패배의 원인으로, 충청권에서는 공천 잡음과 이로 인한 개혁지지층의 결집 실패가 크게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또 경기 성남 중원의 경우는 호남표 및 개혁표가 열린우리당, 민주노동당, 민주당 등으로 갈린 데다 ‘돈봉투’ 논란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젊은층의 지지도가 높은 정당은 낮은 투표율 때문에 재보궐 선거에서 이긴 사례가 거의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