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광재 의원을 둘러싼 논란의 밑바닥엔 그가 ‘여권의 실세’라는 세간의 믿음이 깔려 있다. 한 측근은 ‘왜 이광재인가’라는 물음에 “이광재니까”라고 한마디로 설명했다. 청와대를 떠난 지금도 그가 정부 인사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정보를 독점한 채 무소불위의 힘을 발휘한다는 게 믿음의 내용이다. 이런 믿음은 과연 실체가 있는 것일까? 청와대 출입 여전…인사 ‘뒷심’지목
“영향력 먹힐 시스템 아니다” 반론도
평가는 엇갈린다. 열린우리당의 한 초선 의원은 “그가 뭐라고 얘기하면 결국 그쪽으로 결론이 나더라”라며 “그의 영향력이 관료사회와 정부 산하기관은 물론, 정보기관, 재계에 두루 미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당 안팎에서 그의 ‘인사개입’을 지목하는 최근 사례는, 그가 주도하는 ‘신의정연구센터’ 관계자가 관광공사 최고위직으로 옮겨간 부분이다. 그와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 얼마 전 강원랜드 임원으로 임명된 얘기도 빠지지 않는다.
관료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전하는 일화도 많다. 이 의원을 잘 아는 당 관계자는 “노무현 대통령후보 시절인 지난 2002년 6월 그가 ‘경제부처의 엘리트 관료들’이라며 4명의 명단을 제시했는데, 실제로 이들 모두가 나중에 경제부처 장관을 했다”고 말했다. 그와 삼성그룹의 관계가 각별하다는 얘기도 꽤 널리 퍼져 있다. 당 관계자는 “마이클 그린 미국 국가안보회의 아시아담당 선임국장 등 미국 정부의 고위 관료들도 한국을 방문하면 이 의원을 우선 만났다”고 전했다. 이런 얘기들이 사실이라면, 그의 광범위한 영향력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당 관계자는 “그의 힘은 인사에 대한 영향력이고, 그 바탕엔 폭넓은 인맥이 있다”고 말했다. 일부에선 상당한 직급에 있는 정보기관 관계자의 실명을 거론하며, 대표적인 ‘이광재 인맥’으로 꼽기도 한다. 정치권에선 이 의원이 영향을 끼치는 대표적인 ‘통로’로, 주요 공직자의 인사를 결정하는 기관인 청와대 인사위원회를 꼽는다. 그는 과거 국정상황실장 시절 인사위원회에 참여했다. 지금의 인사위원회 위원장은 그와 각별한 관계인 김우식 비서실장이다. 당 관계자는 “김 실장이 이 의원을 ‘우리 광재’라고 부르며 끔찍이도 챙기는 것을 봤다”고 전했다. 청와대 주요 부서의 실무진에도 그의 인맥이 포진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의 업무구조를 잘 아는 이 의원이 정보의 ‘노루목’을 지킨다고 보면 된다”며 “아래로는 주요 부서 실무진의 충성이 있고, 위로는 노무현 대통령의 신뢰와 김우식 실장의 후원이 있다”고 말했다. 이 ‘삼박자’ 가운데서도 노 대통령의 신뢰가 ‘실세’ 이미지의 원천으로 비치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는 의원이 된 뒤에도 종종 청와대를 들락거린다고 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온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의원 쪽에선 “과거 잣대의 연장선에서 바라보는 관성적 시각일 뿐”이라며, 그의 영향력이 과장·왜곡돼 있다고 설명한다. 그와 함께 오래 전부터 노 대통령을 보좌했던 서갑원 열린우리당 의원은 “청와대 인사위원회가 누가 ‘이 사람 넣어줘라, 마라’고 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라고 이 의원의 ‘인사개입’ 가능성을 부인했다. 백원우 열린우리당 의원은 “대통령의 참모로서 어쩔 수 없는 숙명인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이 의원은 22일 “진실이 밝혀지리라고 믿으며 담담한 마음으로 검찰 조사를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결국 그의 힘을 둘러싼 의혹의 실체적 진실은 검찰 조사를 통해 한 자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청와대 ‘이’ 사람들
|
||||
윤후덕·윤태영·천호선 거리감 유지
윤후덕 업무조정 비서관, 윤태영 제1부속실장, 천호선 국정상황실장 등도 대표적인 연세대 인맥으로 꼽히나, 이들을 ‘이광재 사람’으로 분류하기는 조금 어색하다. 이들은 이 의원의 3∼7년 선배인데다 견제심리도 작용해, 이 의원 쪽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이밖에 박기영 정보과학기술 보좌관, 강태영 업무혁신 비서관, 이현재 산업정책 비서관, 정영애 균형인사 비서관 등도 연대 출신이기는 하나, 이 의원과의 특별한 인연은 드러나지 않고 있다. 오히려 고려대 출신인 박남춘 인사제도 비서관이 이 의원과 가까운 것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는 이 의원이 국정상황실장을 맡고 있을 때 상황1팀장으로 호흡을 맞췄고, 이 의원의 뒤를 이어 국정상황실장이 됐다. 박 비서관은 러시아 유전사업 논란으로 입길에 오르내리고 있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