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 백주년 기념회관에서 열린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해외 공동행사 남쪽 준비위원회’ 공동대표자 회의에서 참석자들이 백낙청 상임대표(왼쪽 끝)의 방북 결과 보고를 듣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
|
남쪽준비위 비상 공동대표 회의서 확정
6·15 공동선언 5돌 기념 민족통일대축전에 참가하는 남쪽 민간·당국 대표단 규모가 애초 계획보다 대폭 줄어든 300명으로 확정됐다.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해외 공동행사 남쪽 준비위원회’(이하 남쪽 준비위)는 8일 서울 종로 기독교 100주년 기념관에서 비상 공동대표자 회의를 열어 논의를 벌인 끝에, 통일대축전에 파견할 대표단 규모를 북쪽과 구두 합의한 대로 300명으로 하기로 결정했다. 여기에는 가극 금강 공연단 90명과 당국 대표단 몫으로 남겨둔 30명이 포함돼 있어 각 종단과 민화협·통일연대 등 공준위 참가 단체 및 지역 대표, 노동·농민 등 각 분과별 참가자 등 실제 민간 대표단 규모는 180명에 불과하게 됐다. 63명의 공동 대표단 가운데 33명이 참석한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또 △애초 합의한 계획을 지키지 않은 점 △합의 과정 없이 대표단 규모 축소를 일방 통보한 점 등에 대해 북쪽에 유감의 뜻을 전달하기로 했다. 이날 논의에 앞서 백낙청 남쪽 준비위 상임대표는 “대표단 규모를 대폭 줄여달라는 북쪽의 예상치 못한 요구로 곤혹스러웠지만, 북쪽과 협의 과정에서 남쪽의 입장을 충분히 전달해 300명이란 숫자가 나올 수 있었다”며 “행사가 기대에 못미치고 규모를 줄이면서 발생하게 될 실무적 어려움 등으로 마음이 무겁지만, 최선을 다해 어렵사리 도달한 합의라는 점을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 당국자는 “민간 쪽이 대표단 규모 축소를 받아들이고 행사를 치르기로 한 만큼 당국 대표단 규모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며 “민간 쪽 결정과 별개로 애초 합의한 70명에서 30명으로 당국 대표단 인원을 줄여달라는 북쪽의 요청에 대해선 추후 당국 간 실무 접촉을 통해 최종 결정을 내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