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6.11 03:29 수정 : 2005.06.11 03:29

미국 워싱턴을 방문한 노무현 대통령이 11일 새벽(한국시각)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오른쪽 끝은 도널드 럼스펠드 국방장관. 워싱턴/연합


북 6자 복귀 위한 ‘진전된 조처’ 관심
노 대통령 회견 내내 굳은 표정 보여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10일 정상회담에서는, 북핵 문제에서는 상당한 의견의 일치를 본 반면, 한-미동맹에서는 여전히 이견이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노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최대 관심사인 북핵 문제에서 ‘평화적·외교적 해결 원칙’을 재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기자회견에선 이런 원칙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한-미간 이견이 없음을 거듭 강조하는 형식으로 이를 천명했다. 애초 우려됐던 미국쪽의 강경한 태도도 드러나지 않았다. 이는 미국 정부 안에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대북 강경책에 제동을 건 것으로 평가된다.

노 대통령은 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만날 때마다 항상 북핵문제를 둘러 싸고 한-미간 이견이 없는지 걱정을 했지만, 우리 사이에는 기본 원칙에 있어 이견이 없고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얘기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부시 대통령도 “한국과 미국은 핵이 없는 한반도라는 공통의 문제를 갖고 있다”며 “이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6자 회담이 필요하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대화에 끌어들일 필요가 있다”고 말해, 한 목소리를 냈다. 특히 부시 대통령은 지난달 31일에 이어 이날 회견에서도 ‘미스터 김정일’이라고 불러,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였다.

노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준군사적 조처 등은 언급도 하지 않은 채, 외교적 노력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외교적 노력을 다 소진했다는 데 관련국의 공감대가 이뤄질 경우 그때야 취할 수 있는 방안을 협의할 수 있다는 게 우리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북한이 6자 회담에 복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여건은 마련한 셈이다. 두 정상은 나아가 복귀선언 시점을 앞당기기 위한 ‘진전된 조처’에 대해서도 협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전해지지 않았다.

하지만, 한-미동맹 문제에서는 몇가지 이견이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주는 분위기였다. 노 대통령은 “한두가지 문제는 남아있지만 앞으로 대화로서 해결할 것이다”라고 말한 뒤, 부시 대통령에게 “한-미동맹 잘돼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까, 어떻습니까?”라고 물어, 전략적 유연성 등 몇가지 문제에서 차이점이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노 대통령은 기자회견 내내 굳은 표정을 보여, 몇가지 이견이 있었음을 내비쳤다.


부시 대통령이 이날 주한미군에 의한 교통사고 사건에 대한 조의를 밝힌 것도 한-미간의 이견에 따른 한국민의 정서를 의식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회담 전 “두 정상은 한-미동맹의 큰 틀에 대해 얘기할 것이며, 전략적 유연성이나 작계 5029 등 구체적 현안은 구체적으로 제기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지만, 실제 회담에선 구체적인 문제에서 의견이 부딪힌 것으로 보인다.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