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6.15 06:55 수정 : 2005.06.15 06:55

노무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결과 등을 설명하기 위해 14일 낮 청와대에서 마련한 오찬에 앞서 김원기 국회의장(앞줄 왼쪽),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노 대통령 뒤 오른쪽) 등 3부 요인 및 각 정당 대표들과 함께 오찬장으로 향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노대통령, 개최여부·의제 막판까지 고심
고이즈미, 과거청산 5개 방안 제시할 듯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가 오는 20일 청와대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연다고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이 14일 밝혔다. 정상회담은 청와대 안에서 외빈을 맞는데 사용하는 전통 한옥 건물인 상춘재에서 열릴 예정이며, 고이즈미 총리는 21일 일본으로 돌아간다.

김 대변인은 “두 정상은 바람직한 한-일 관계를 위한 역사 인식 공유 및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협력 방안 등에 관해 폭넓게 협의할 예정”이라며 “정상회담이 역사 인식 문제 등을 둘러싸고 어려운 국면을 맞고 있는 상황에서 개최되는 바, 두 정상 사이의 심도있는 의견 교환을 통해 올바른 한-일 관계의 방향을 논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이 마지막까지 연기 또는 취소를 검토했던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게 됨에 따라, 두 나라 사이의 관계는 일단 최악의 국면은 피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이번 정상회담이 한 차례로 끝나는데다 회담 의제에서도 여전히 견해차가 커, 두 나라의 외교적 갈등과 마찰이 해소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앞서 노 대통령은 이날 낮 3부 요인과 여야 5당 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해 점심을 함께 하면서 “한-일 정상회담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 한다면 어떤 주제로 할 지 결정되지 않아 고심하고 있다”고 말해, 막판까지 고심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김원기 국회의장, 문희상 열린우리당 의장,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천영세 민주노동당 의원단 대표 등은 한-일 정상회담의 필요성을 지적한 반면, 한화갑 민주당 대표와 김학원 자민련 대표는 “국민감정상 한-일회담은 성과가 없으면 문제”라는 견해를 밝혔다.

김 대변인은 “노 대통령은 정상회담 개최를 오찬 회동 뒤 최종적으로 결심했고, 그 내용을 일본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한편 고이즈미 총리는 이번 회담에서 △제2기 역사공동연구위의 연구대상에 역사교과서 포함 △강제징용자 유골 반환 △한국 거주 피폭자 지원 △사할린 거주 한인 지원 △북관대첩비 반환 방침 등 5개 방안을 제시해 두 나라 관계 개선의 실마리를 모색할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4일 보도했다.

또 호소다 히로유키 관방장관은 이날 ‘종군위안부라는 말이 원래 없었다’는 망언을 한 나카야마 나리아키 문부상에 대해 “각료는 외교관계를 배려해달라”며 주의를 주었다고 일본 언론들이 이날 전했다.

김의겸 기자, 도쿄/박중언 특파원 kyummy@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