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가 20일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열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북핵 평화해결 재확인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는 20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열어, 제2기 역사공동연구위원회를 발족해 산하에 교과서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고이즈미 총리는 논란을 빚어온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관련해 제3의 추도시설 건립 문제를 검토하기로 했다. 두 정상은 이날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2시간 동안 공식 회담을 한 뒤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이렇게 밝혔다. 두 정상은 또 북핵 문제의 평화적·외교적 해결 원칙을 확인하고, 이를 위해 한국·미국·일본 세나라가 긴밀히 협조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그러나 두 정상은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과 독도 영유권 주장 등 역사인식 문제에서는 합의점을 찾지 못해, 악화 일로를 달려온 한-일 갈등 관계가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은 이날 “두 정상은 역사인식 문제에 대해 많은 의견을 교환해, 두가지 아주 낮은 수준의 합의에 도달했다”며 “고이즈미 총리와 나는 2기 역사공동연구위에 교과서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합의하고, 공동연구 결과를 널리 주지시켜 교과서 편수과정에 참고가 되도록 각각의 교과서 제도 안에서 노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노대통령은 이어 “야스쿠니 참배 문제와 관련해 저는 2001년 10월 한-일 정상회담에서 제기된 제3의 추도시설 건립 문제를 제기했고, 고이즈미 총리는 새로운 일본 여론과 제반사정을 고려해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 대통령은 “오늘 대화 중에서 지금까지 내용을 조율하는 데는 10분이 소요되고, 나머지 1시간50분 동안은 역사문제를 중심으로 여러가지 관점에서 대화를 나눴다”며 “역사를 보는 기본적인 인식 문제에서부터 역사교과서, 야스쿠니 참배에 관한 문제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대화를 나눴으나 합의에 이른 것은 없다”고 말해 상당한 견해차를 보였음을 내비쳤다. 고이즈미 총리는 다음 정상회담은 일본에서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한-일 정상회담은 참여정부가 출범한 이후 7번째이며, 이른바 ‘셔틀 외교’로 불리는 두 나라간 실무형 정상회담으로는 지난해 7월 제주 정상회담, 12월 일본 가고시마현 이부스키 정상회담에 이어 세번째다. 고이즈미 총리는 이날 정상회담과 만찬을 마친 뒤 21일 오전 일본으로 돌아간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