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6.21 19:00 수정 : 2005.06.21 19:00


혁신위, “내년 지방선거 전 전대 개최”
박대표, 조기퇴진 등 걸려 수용 의문

한나라당 혁신위(위원장 홍준표)가 21일 책임당원제 도입과 대북 상호공존 정책 등을 담은 당헌 및 정강·정책 개정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개정안에는 지도체제와 대통령후보 선출 방식 등 당내 ‘역학구도’에 큰 영향을 미칠 대목이 많아, 의원총회와 운영위원회의 추인 과정에서 상당한 논란이 예상된다.

개정안, 뭘 담았나=혁신위는 우선 대통령후보 선출과정의 공정성 확보를 이유로, 대선 1년6개월 이전부터 당권과 대권을 분리하도록 했다. 혁신위 안에 따르면 대선에 출마하고자 하는 사람은 상임고문 이외의 모든 당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또 전당대회 대의원과 일반 당원, 국민참여선거인단 등으로 이뤄진 전국선거인단대회에서 뽑도록 돼있는 현행 대통령후보 선출제도도 바꿔, 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20% 반영하도록 했다.

당 최고의결기구도 대표최고위원·최고위원·원내대표·정책위의장 등 9명으로 이뤄진 최고위원회로 명시해, 명실상부한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바꾸도록 했다. 대부분의 중요 사항은 여기서 ‘표결’로 결정하도록 했다. 현재는 대표최고위원을 비롯해 시·도당 위원장 등까지 포함한 50여명으로 이뤄진 운영위원회가 당헌상 최고의결기구다.

혁신위는 또 당비를 내는 당원을 책임당원으로 분류해, 선거권만 지니는 일반 당원과 달리 공직·당직자 선거의 피선거권을 갖도록 했다.

당의 정책과 관련해선 대북정책 기조를 ‘전략적 상호주의’에서 ‘유연하고 적극적인 상호공존 원칙’으로 바꾸고, 경제정책도 대기업 규제와 소외계층 복지체제를 강조하는 등 그동안의 ‘반통일’, ‘친재벌’ 인상을 벗으려 했다.

어떤 영향을 미칠까=가장 큰 관심사는 박근혜 대표, 이명박 서울시장, 손학규 경기지사, 강재섭 원내대표 등 당내 대선 예비후보들이 이 안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다.


혁신위 안대로 대선후보 선출 방식에서 일반국민 여론조사의 비중이 커진다면, 상대적으로 국민 지지도가 높은 박 대표나 이 시장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손 지사나 강 원내대표로선 내심 불만스러울 수밖에 없다.

지도체제의 경우 개별 최고위원들의 위상이 높아지고 당 대표의 권한은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방향이어서, 박 대표가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도부 개편을 위한 전당대회 시기도 논란의 대상이다. 홍준표 혁신위 위원장은 전대 개최 시기에 대해, “내년 5월 지방선거 이전에는 혁신안을 실행해야 하며, 지방선거 공천을 선거 3개월 전까지 마무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늦어도 내년 1∼3월에는 전당대회를 열어야 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내년 7월까지가 임기인 박 대표가 이를 수용할 가능성은 상당히 낮아 보인다. 박 대표 쪽에선 “내년 지방선거 전에 박 대표를 조기 강판시켜, 박 대표의 활동 공간을 제약하려는 것 아니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 혁신위의 개정안을 통째로 수용할지, 일부만 수용할지도 문제다. 홍 위원장은 “혁신위 안은 서로 연결돼 있어서 한 부분을 거부하면 나머지도 무너진다”며 일괄 수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