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이 21일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에 출석해, 한-일 정상회담 결과와 북핵 문제 등에 대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
반 외교 “미 관리‘폭정 전초기지’발언 유감”
“라이스 만나 무분별한 발언 삼가 요청할 것” 정부가 입단속과 말조심에 나섰다. 미국과 북한의 입씨름이 자칫하면 날짜를 잡는 일만 남은 6자 회담 재개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21일 “최근 미국 고위 관리들이 북한을 ‘폭정의 전초기지’라고 언급한 것은 현재의 남북화해 분위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 장관이 미국의 일부 관리들의 발언에 대해 이례적으로 ‘유감’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말조심을 얘기한 것은 이 문제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반증이다. 청와대의 한 고위당국자도 이날 “북한이 6자 회담에 조속히 복귀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본다”며 “이런 좋은 분위기가 잘 진전될 수 있도록 잘 살려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 고위관계자는 20일 <연합뉴스>와의 전화인터뷰에서 “미국이 ‘폭정 발언을 철회한다’고 말하지 않더라도, ‘폭정’ 등 우리를 자극하는 발언을 하지 않는다면 그것도 일종의 철회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 발언을 중시하고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난 17일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의 면담 뒤 오찬에서 ‘남북의 언어순화’를 강조하고, 미국에 대해서는 북한을 ‘인정하고 존중할 것’을 요구한 것도 같은 맥락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폴라 도브리안스키 미 국무부 차관은 20일 네오콘(신보수)의 싱크탱크인 허드슨연구소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북한과 미안마·짐바브웨·쿠바를 ‘폭정의 전초기지’로 예시하며, 이들 나라의 민주화를 위해선 반체제 인사나 개혁세력과 접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 장관의 유감 표명은 이 연설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고위당국자는 아예 “비공식적인 세미나 자리나 개인적인 얘기라도, 6자 회담의 진전과 분위기 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얘기가 나오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않다”며 도브리안스키 차관을 직접 지칭했다. 이와 관련해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지난 19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아직도 북한을 ‘폭정의 전초기지’로 보느냐”는 질문에, “북한 정권의 성격은 자명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직접적인 언급은 피했다. 이날 이라크 재건 국제회의가 열리는 브뤼셀로 떠난 반 장관은 “22일 라이스 미 국무장관을 만나면 앞으로 불필요하고 무분별한 발언을 삼가해줄 것을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은 20일 북한이 이제는 6자 회담 복귀 날짜를 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스콧 매클렐런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회담 복귀 여부와 관련한 질문에 “북한이 (6자) 회담에 복귀하기를 원한다는 일부 시사가 있었지만 그들은 지금까지 (복귀) 날짜를 정하지 않았다”며 “우리는 날짜가 정해지는 것을 봐야 한다”고 거듭 요구했다. 애덤 어럴리 국무부 대변인도 “기본적으로 우리가 날짜를 가질 때까지 (북한과) 우리와의 협상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강태호 기자 kankan1@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