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무현 대통령이 28일 오전 청와대에서 신임 김정복(金井復) 국가보훈처 차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기위해 행사장에 입장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
이재용 전 대구 남구청장 등 낙선자 챙겨
17대 낙선자 28명에 ‘보은’ 대부분 영남출신
곽결호 환경부장관 사의표명 열흘전부터 이재용씨 검증작업 노무현 대통령이 환경부 장관에 이재용 전 대구 남구청장을 임명할 것으로 알려져, 최근 잇따르는 ‘낙선자 챙기기’ 논란이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이재용 전 청장만 놓고 보면, 환경부 장관에 손색이 없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두차례 민선 구청장을 지내며 ‘닮고 싶은 단체장’ 1위로 꼽힐 정도로 관리 능력을 인정받았고, 대구환경운동연합 초대 집행위원장으로서 페놀사태, 공산댐 살리기 등을 주도하며 환경분야의 전문성도 쌓았다. 한나라당의 아성이라는 대구에서 한나라당의 영입 공세에 흔들리지 않은 소신도 보였다. ‘골프장 맥주병 사건’의 주역인 곽성문 현 한나라당 의원에게 지난 17대 총선에서 패한 뒤에는 현지에서도 아쉬워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하지만, 이 전 청장까지 합치면 17대 총선의 열린우리당 낙선자 가운데, 노 대통령이 청와대와 정부, 공기업 등에 자리를 마련해 준 사람은 모두 28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영남 출신 인사가 22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최근의 이철 철도공사 사장 내정자와 이해성 조폐공사 사장 내정자를 비롯해, 권욱 소방방재청장, 공민배 지적공사 사장,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 이강철 청와대 시민사회수석 등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6월 재·보선 때 부산시장에 출마했다 떨어진 오거돈 해양수산부 장관까지 합치면 더 늘어난다. 이에 따라 ‘정치적 논공행사’나 ‘보은인사’가 아니냐는 비판이 불거지고 있다. 노 대통령이 자신을 도와준 사람에게 반드시 보답하고 빚을 갚으려는 ‘작은 의리’를 발휘하고 있다는 것이다. 참여정부가 외연을 넓히지 못하고 ‘윗돌 빼 아랫돌 고이는 식’의 협량함을 보이고 있다는 비판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런 ‘낙선자 챙기기’ 과정에서는 억지로 자리를 만드는 등 인위적인 요소도 상당히 개입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곽결호 장관이 청와대에 들어와 사의를 표명한 것은 지난 22일께이지만, 이 전 청장에 대한 검증 작업은 그보다 열흘 전쯤부터 시작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이재용 환경부 장관’을 미리 점찍어 놓고, 곽 장관의 사퇴를 권유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편, 청와대 관계자들은 노 대통령의 이런 인선을 현실적 제약과 전략적 필요 둘로 설명하고 있다. 김완기 인사수석은 “현실적으로 영남에서 당선 가능성이 없는데도, 등을 떠밀려 나간 사람들이 낙선한 뒤, 그 능력으로 봐서 어딘가 적재적소를 찾아서 써준다고 하면 좋지 않겠느냐”며 “배려 케이스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나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내년 지방선거와 이후 대통령선거, 총선 등을 감안할 때 영남지역의 인재를 유지하고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실적으로 호남 출신들은 인재풀이 넘쳐나는 데 반해, 영남권은 극히 한정돼 있어, 선거에 투입된 사람을 다시 쓸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