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 국정원장 후보자 “임명되면 검토하겠다”
지난 5월 국회가 과거사 정리 기본법을 제정한 것을 계기로 과거사 규명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한 가운데 한겨레신문사는 1996~97년에 있었던 국가안전기획부의 ‘한겨레 탄압 공작’에 대해 조사해 진상을 규명해줄 것을 국가정보원에 정식으로 요청했다. 한겨레신문사는 5일 국정원에 보낸 공문에서 “안기부의 한겨레 탄압 공작은 지난 2001년 3월 ‘한겨레신문 종합분석’이란 문건을 통해 그 전모의 일부가 드러났으나 아직 실체는 베일에 가려져 있다”며 “국정원이 자신의 불행했던 과거를 스스로 밝혀 거듭나겠다는 취지에서 ‘과거사 진실규명 발전위’ 활동에 나선 것이라면 가장 최근에 저질러진 언론탄압 사건이야말로 가장 시급히 진상을 밝혀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겨레>는 “이 사건은 불과 8년 전 문민정부 아래서 일어난데다 안기부의 후신인 국정원이 여전히 탄압 사실 자체를 시인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며 “국정원의 이런 태도에 비춰, 정권의 성격에 따라 언제든 다시 언론 사찰과 탄압 공작이 재현될 수 있다는 의구심을 떨칠 수 없게 한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한겨레는 안기부가 96~97년 ‘한겨레신문 종합분석’이란 제목의 한겨레 탄압 공작 문건을 마련해 광고탄압 등을 실행에 옮겼다는 내용을 2001년 3월15일치에 보도한 바 있다. 이 문건에서 안기부는 한겨레를 ‘친북 좌익세력 지원 언론’으로 규정한 뒤 그 대책으로 “정부 부처 및 산하 정부투자기관에 한겨레신문 광고를 중단토록 하고, 전경련 등과 협조해 대기업 광고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유도한다.”“금융기관 대출금(100억원)에 대한 상환기간 연장을 불허하고, 추가 대출을 허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한겨레신문의 사세 확장을 견제하기 위해 정부기관, 친여단체를 총망라해 범정부 차원의 절독 운동을 전개하고, 문화센터, 뉴미디어사업 등 신규사업 진출시 행정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등의 공작방안을 담았다. 이와 관련해 김승규 국정원장 후보자는 5일 국회 정보위 인사청문회에서 ‘한겨레신문 종합분석’ 문건과 한겨레 탄압 사건에 대해 국정원의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 대상에 포함시켜 조사할 뜻이 있느냐는 최재천 열린우리당 의원의 질문에 “국정원장에 임명된다면 가서 검토해 보겠다”고 말해 전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국정원은 그동안 비공식적으로 문건의 존재 사실에 대해 인정한 바 있으나, 공식적으로는 한차례도 이를 시인하지 않았다. 정광섭 기자 iguassu@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