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제제기 외면 안타깝다” 노무현 대통령이 6일 다시 청와대 홈페이지에 국민들에게 보내는 편지를 띄웠다. 노 대통령은 ‘우리 정치, 진지한 토론이 필요하다’라는 제목을 단 이 글에서, 지역구도의 극복, 현행 소선거구제의 불합리성, 여소야대의 문제점 등에 대한 자신의 문제제기가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데 대해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노 대통령은 “재미삼아 속셈을 계산하고 이해득실을 따지는 구경꾼이 아니라, 민주사회의 주인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논의해보자는 것”이라며 “내용의 타당성이나 현실성에 관한 논의는 어디로 가버리고 ‘속셈’이니 ‘승부수’니 ‘스타일’이니 하는 이미지 이야기나 게임의 논리만 무성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또 “취임후 첫 국회연설에서 국회가 지역구도 문제의 해결에 동의한다면 대통령이 가진 권한의 절반이상을 내놓을 용의도 있다고 밝혔다”며 “지금도 그 이상의 것이라도 내놓을만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번 편지로, 노 대통령의 편지는 열흘 사이에 네통으로 늘었다.(표 참조) 이런 ‘편지 정치’에 대해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대통령의 생각을 보다 정확히, 보다 분명하게 전달하려는 것”이라며 “외국의 경우 대통령이 라디오 연설을 많이 하는데, 우리는 인터넷 시대에 맞춰 인터넷을 통해 국민들과 직접 대화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 대통령의 편지정치에는 이런 배경 말고도 기존 언론매체에 대한 불신도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한 핵심관계자는 “유전 의혹, 행담도 개발 의혹 등에서 아무리 선의를 설명해도 보수적인 언론매체들이 소나기식 비판을 쏟아붓는 데 대해 절망에 가까운 한계를 느꼈다”며 “왜곡된 통로를 통하지 않고 대통령이 직접 국민들에게 설명하는 길이 최선이라는 판단이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편지에서도 6일치 <조선일보>를 거론하며 “‘경제에 올인한다고 해놓고 경제민생 점검회의는 왜 주재하지 않느냐?’는 기사도 보았다”며 “이런 보도를 한 언론은 정말 대통령이 점검회의를 주재하지 않으면 경제가 잘 안돌아 간다고 믿고 있습니까? 냉정을 잃으면 수준을 잃기 쉽습니다.”고 말했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