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7일 서울 염창동 당사에서 열린 상임운영위원회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회의장에 들어서고 있다. 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
개혁인사 기대 소장파 반발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의 ‘인사 스타일’이 ‘입길’에 오르고 있다. 당내의 여러 지적에도 불구하고, 7일 당내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 소장에 3선의 김기춘 의원을 임명했기 때문이다. 이날 당 운영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추인된 김 의원은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을 지낸 당내의 대표적 영남권 보수인사로 분류된다. 지난 1992년 대선 당시 부산지역 기관장 모임에서 ‘우리가 남이가’라며 지역감정을 부추긴 ‘초원복집’ 사건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또 박 대표가 지난 2월까지 이사장으로 있었던 정수장학회에서 장학금을 받았던 인연도 있다. 이런 탓에 개혁 성향의 인사가 임명되기를 기대했던 당내 소장파들은 ‘코드 인사’, ‘물길을 거스르는 보수 회귀’라고 비판하며, 박 대표의 인사 스타일을 문제삼고 나섰다. 당내 소장파 모임인 수요모임의 회장인 박형준 의원은 “여의도연구소가 당 정책위나 사무처의 부속기관처럼 되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다라는 데 의원들의 의견이 모아졌다”며 “연구소의 향후 방향을 제시하려고 준비를 해왔는데, 이렇게 서둘러 운영위를 열어 결정한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한 초선 의원도 “당내 목소리를 반영하지 않는 박 대표의 인사 스타일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번 일 말고도 박 대표의 인사 스타일에 대해선 당 안팎에서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자신의 측근들이 ‘구설수’에 오르거나 ‘사고’를 낼 경우, 대신 사과하거나, 비난여론이 가라앉을 때까지 관망하는 바람에 ‘측근 감싸기’라는 비판을 사고 있는 것이다. 박 대표는 자신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전여옥 대변인이 ‘대졸 대통령’ 발언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을 때도 “내가 대신 사과하겠다”며 버텼고, 곽성문 전 홍보위원장의 ‘골프장 난동사건’도 초기에 보고를 받았지만 파문이 가라앉기만을 기다리다 여론의 악화만 초래했을 뿐이다. 최익림 기자 choi21@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