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박 대표는 과거사 진상규명과 관련, "진실규명은 역사학자들에게 맡겨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하자는 것이며 정치권이 개입해 이를 악용하려 한다면 여론의 저항을 받게 될 것"이라면서 `정치논리의 개입' 가능성에 차단했다. 근대화와 산업화로 가난을 몰아냈지만 권위주의로 통치로 민주주의 발전을 가로막은 공과 과를 함께 지니고 있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자, 제 1야당의 대표라는이중적 위치에 놓여있는 박 대표가 향후 본격화될 `과거사 정국'을 어떻게 돌파해낼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  | 박근혜 대표 “박정희의 딸 잊어달라” | 
					
															
					 "저를 잊어버리고 박근혜가 누구의 딸이라는 것을 잊어달라"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20일 비공개로 진행된 상임운영위원회에서 한일협정 외교문서, 문세광 사건 관련 문서 등 박정희 전 대통령 집권시대의  `과거사'관련 문건이 잇따라 공개되고 있는데 대해 이 같이 말했다. 
    먼저 박 대표는 "문서 공개에 대해 공당으로서, 공당 대표로서  대처하는  것이중요하다"면서 "대표인 나에게 부담을 갖거나 나를 염두에 두지 말라"고 당  지도부에 주문했다. 
    그는 "나도 공당으로서, 공당의 대표로서 당의 의견을 밝히고 있다. 
 개인으로서말하거나 행동하지 않고 있다"면서 "할 말은 적극적으로 하고 의견개진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여옥 대변인이 전했다. 
    이같은 박 대표의 발언은 `대통령의 딸'이라는 특수한 입장이 과거사 문제에 대한 당의 대응을 곤란하게 만들고 있다는 당내 일각의 시선을 의식한 것으로  보이지만, 앞으로 이 문제를 비켜가지 않고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박 대표는 이날 문세광 사건 관련 문건의 공개로 지난 74년 8.15 경축식에서 어머니 육영수 여사를 잃은 아픔이 새삼 되살아났겠지만, 상임운영위, 의원총회 등 당의 공식 회의를 주재하면서 의연함을 잃지 않으려 애쓰는 모습이었다. 
    박 대표는 상임운영위에 참석에 앞서 문세광 관련 문서 공개에 대한 소회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 "소회할께 있겠느냐"고 말하고, `관련기록을 이전에 본 적이 있느냐'고 묻자 "그런 걸 다 볼 수는 없죠"라고 담담한 반응을 보였다. 
    박 대표는 19일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한일외교 문서 공개와 관련,  "개인청구권을 빼앗긴 문제 등은 사실관계를 객관적으로 밝혀 정부차원의 보상을 적극 검토해야한다"고 이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을 해나갈 것임을 분명히 했다. 
 
물론 박 대표는 과거사 진상규명과 관련, "진실규명은 역사학자들에게 맡겨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하자는 것이며 정치권이 개입해 이를 악용하려 한다면 여론의 저항을 받게 될 것"이라면서 `정치논리의 개입' 가능성에 차단했다. 근대화와 산업화로 가난을 몰아냈지만 권위주의로 통치로 민주주의 발전을 가로막은 공과 과를 함께 지니고 있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자, 제 1야당의 대표라는이중적 위치에 놓여있는 박 대표가 향후 본격화될 `과거사 정국'을 어떻게 돌파해낼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물론 박 대표는 과거사 진상규명과 관련, "진실규명은 역사학자들에게 맡겨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하자는 것이며 정치권이 개입해 이를 악용하려 한다면 여론의 저항을 받게 될 것"이라면서 `정치논리의 개입' 가능성에 차단했다. 근대화와 산업화로 가난을 몰아냈지만 권위주의로 통치로 민주주의 발전을 가로막은 공과 과를 함께 지니고 있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자, 제 1야당의 대표라는이중적 위치에 놓여있는 박 대표가 향후 본격화될 `과거사 정국'을 어떻게 돌파해낼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