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록 일본 입장에서는 자국인 납치 문제가 주요 이슈이겠지만 해묵은 과제인데다 6자회담 참여국의 하나로서 이렇게 중요한 시기에 그 문제를 들고 나와야 했는지 비난을 사고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미국만을 쳐다보며 외교를 하던 일본이 북미관계 악화를 호재로 삼아 국내 정치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다 `낙동강 오리알'로 전락한 모양새이다. 따라서 북미 회담 수석대표간 전격 회동으로 6자회담 재개가 확정된 데서 보듯 양국간 우호 분위기가 서서이 무르익을 조짐을 보이고 있어, 이 같은 북미간 분위기가 지속된다면 일본의 역할은 그 만큼 축소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 역시 일본이 6자회담 참가국이라는 이유로 공개적으로 말은 안하지만 그간 일본의 역할에 큰 기대를 하지 않은 게 사실이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당국자는 11일 "일본이 내부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납북자 문제를 계속 거론할 수 밖에 없는 측면도 있고 북미간 관계가 악화됐을 때 악역을 맡는다는 측면도 있을 수 있다"고 해석했다. 하지만 우리 정부가 일본의 역할을 포기한 것은 아닌 듯 보인다. 지금까지 별다른 역할을 못했던 일본이 회담이 재개되면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게 우리 정부내 대체적인 분위기다. 송민순 외교부 차관보도 "앞으로 회담의 실질적인 진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일본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고 그렇게 돼야 한다"고 말해 일본의 회담 재개 역할이 미미했음을 시사하면서도 향후 일본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촉구했다. 그는 "일본인 납치문제는 6자회담의 의제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하고 일본측도 잘 알고 있다"며 일본이 북핵문제에만 집중해 줄 것을 간접 주문했다. 그가 "6자 속에서 양자 차원에서는 될 수 있으며, 특별히 납북자문제 제기로 인해 6자회담에 지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여 일본이 회담 분위기와 상관없이`마이웨이'로 간다해도 대세에 지장이 없을 것이라는 경고성 메시지도 보냈다. 회담 재개 과정에서 스스로 `왕따'를 자초한 일본이 향후 회담 과정에서 어떤 건설적 역할을 찾아 북핵문제 해결에 기여할 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