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방송>이 지난 21일 밤 ‘뉴스데스크’를 통해 홍석현 주미대산가 ‘도청 녹취록’의 방송금지 가처분 신청을 했다고 보도하고 있다. <문화방송> 화면 촬영
|
청와대 “혹석현 거취거론 일러”
안기부 불법도청 사건과 관련해 정치권은 22일 한 목소리로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면서도 이른바 ‘엑스파일’의 파괴력이 어디까지 미칠지에 대해 신경을 곤두세우는 분위기였다. 특히 한나라당은 김영삼 전 대통령의 측근 출신 당직자들과 초·재선급 당직자들 사이에 반응이 엇갈리는 등 복잡한 모습을 보였다. 김무성 사무총장은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도청이 잘못이긴 하지만, 보안이 생명인 내부정보가 외부로 유출되고 피도청자의 약점을 협박하는 것은 큰 사회적 병리현상”이라며 애써 사건의 본질을 비켜나려는 듯했다. 김영삼 정부시절 검찰총장과 법무부장관을 지낸 김기춘 여의도연구소장은 회의에서 불법도청 사건에 대해서는 일절 발언을 삼갔다. 반면 기획위원장인 권영세 의원은 “국회 차원에서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테이프 내용도 전부 공개돼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정현 부대변인도 논평에서 “불법도청을 뿌리뽑기 위해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단을 구성해서 확실한 검증까지 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열린우리당에서는 배기선 사무총장이 “국가기관의 불법 도청은 뿌리를 뽑아야 하며, 이번 의혹도 국정원 과거사 청산 차원에서 규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엑스파일’의 실체에 대해서는 “내용이 뭔지 밝혀진 뒤에 그때가서 대응할 일”이라고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홍승하 민주노동당 대변인은 “불법도청 문제에 대해 청문회 등을 통한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도청테이프에 담긴 97년 대선자금 지원 의혹과 관련해 필요하다면 검찰수사까지 진행해야 한다는 자세다.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국정원의 진상규명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으나, 홍석현 주미대사가 불법도청 테이프에 담긴 대화록에 ‘등장인물’로 실명 거론되고 있는 데 대해서는 “일단 사실관계가 파악돼야 하며, (홍 대사의) 거취문제가 거론될 단계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