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7.27 08:53 수정 : 2005.07.27 09:56

사본 연합 - Andrews Air Force

녹취록 요약본 김대중 후보 관련대목 빠져
천용택 국정원장 테이프 회수 뒷거래 의혹도

옛 국가안전기획부의 불법도청 녹음테이프 사건의 파문이 김대중 정부 쪽으로 번지고 있다.

언론에 공개된 이 녹음테이프의 녹취록 요약본에서 1997년 대선 당시 김대중 국민회의 후보와 관련된 부분이 빠져 있는 사실이 26일 드러난 데 이어, 녹음테이프 녹취록이 99년 박지원 당시 문화관광부 장관에게 건네졌다는 주장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또 그해 천용택 당시 국정원장이 ‘미림’팀장인 공운영씨한테서 불법도청 테이프를 회수하는 과정의 ‘거래 의혹’도 가시지 않고 있다.

‘김대중 언급’ 왜 빠졌나? = <한겨레>의 취재 결과, 언론들이 공개한 97년 9월9일치의 녹취록 요약본 가운데 홍석현 <중앙일보> 사장이 ‘김대중’이라는 이름을 언급하기 시작한 대목이 누락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녹음테이프와 요약본을 처음 입수한 <문화방송> 쪽도 김대중 후보와 연관된 대목이 빠진 요약본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면, 애초 제보자가 외부에 유출할 때부터 이 대목이 누락돼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선 녹음테이프를 언론에 넘긴 재미동포 박아무개씨 등이 99년 금전 거래 등을 시도했을 때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관련된 대목이 드러나는 것에 부담을 느껴 일부러 빠뜨렸거나, 안기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단계부터 빠졌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박지원 전 장관 미리 알았나? = 재미동포 박씨는 이날 인천국제공항에서 출국하려다 붙잡히기 직전 문화방송과 인터뷰에서, 99년 미림팀원 등과 함께 박 장관의 집무실을 찾아갔다고 주장했다. 박씨는 이에 대해 “당시 박 장관이 <중앙일보>와 신경전을 벌이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댔다.

이에 따라, 불법도청 녹음테이프의 존재를 알게 된 박 장관이 어떤 행동을 취했는지, 이런 사실이 왜 당시에 공개되지 않았는지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 전직 청와대 인사는 “설사 박 장관이 테이프를 받았더라도 김대중 대통령의 대선자금 관련 대목 등이 들어 있어 공개하기 어려웠던 게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안기부 불법도청 녹취록 가운데 주요 누락부분

천용택 전 원장의 모호한 태도=99년 당시 천용택 국정원장이 공운영씨한테서 200여개의 녹음테이프를 회수한 과정과, 그 이후 처리 결과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된다.


안기부 전직 간부 출신들의 모임인 ‘국가를 사랑하는 모임’(국사모)의 송영인 회장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장성민입니다’에 출연해, 천 전 원장이 공씨의 도청 테이프 유출 사실을 알면서도 그를 처벌하는 대신 ‘뒷거래’를 통해 위법 행위를 무마해줬다고 주장했다. 그는 도청 테이프에 김대중 정부와 관련된 내용이 있었으며, 천 전 원장은 테이프 폭로를 막기 위해 공씨에게 이권까지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이날치 <중앙일보>는 소식통의 말을 따, 천 전 원장이 공씨한테서 회수한 테이프 중 상당수를 당시 권력 실세인 ㅂ씨에게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천 전 원장 쪽은 “오래전 일이라 기억에 없다”며 “당시 엄익준 차장, 이건모 감찰실장 등이 처리한 일을 보고만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반박했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