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본 연합 - Andrews Air Force
|
녹취록 요약본 김대중 후보 관련대목 빠져
천용택 국정원장 테이프 회수 뒷거래 의혹도
옛 국가안전기획부의 불법도청 녹음테이프 사건의 파문이 김대중 정부 쪽으로 번지고 있다.
언론에 공개된 이 녹음테이프의 녹취록 요약본에서 1997년 대선 당시 김대중 국민회의 후보와 관련된 부분이 빠져 있는 사실이 26일 드러난 데 이어, 녹음테이프 녹취록이 99년 박지원 당시 문화관광부 장관에게 건네졌다는 주장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또 그해 천용택 당시 국정원장이 ‘미림’팀장인 공운영씨한테서 불법도청 테이프를 회수하는 과정의 ‘거래 의혹’도 가시지 않고 있다.
‘김대중 언급’ 왜 빠졌나? = <한겨레>의 취재 결과, 언론들이 공개한 97년 9월9일치의 녹취록 요약본 가운데 홍석현 <중앙일보> 사장이 ‘김대중’이라는 이름을 언급하기 시작한 대목이 누락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녹음테이프와 요약본을 처음 입수한 <문화방송> 쪽도 김대중 후보와 연관된 대목이 빠진 요약본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면, 애초 제보자가 외부에 유출할 때부터 이 대목이 누락돼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선 녹음테이프를 언론에 넘긴 재미동포 박아무개씨 등이 99년 금전 거래 등을 시도했을 때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관련된 대목이 드러나는 것에 부담을 느껴 일부러 빠뜨렸거나, 안기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단계부터 빠졌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박지원 전 장관 미리 알았나? = 재미동포 박씨는 이날 인천국제공항에서 출국하려다 붙잡히기 직전 문화방송과 인터뷰에서, 99년 미림팀원 등과 함께 박 장관의 집무실을 찾아갔다고 주장했다. 박씨는 이에 대해 “당시 박 장관이 <중앙일보>와 신경전을 벌이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댔다.
이에 따라, 불법도청 녹음테이프의 존재를 알게 된 박 장관이 어떤 행동을 취했는지, 이런 사실이 왜 당시에 공개되지 않았는지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 전직 청와대 인사는 “설사 박 장관이 테이프를 받았더라도 김대중 대통령의 대선자금 관련 대목 등이 들어 있어 공개하기 어려웠던 게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
안기부 불법도청 녹취록 가운데 주요 누락부분
|
천용택 전 원장의 모호한 태도=99년 당시 천용택 국정원장이 공운영씨한테서 200여개의 녹음테이프를 회수한 과정과, 그 이후 처리 결과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된다.
안기부 전직 간부 출신들의 모임인 ‘국가를 사랑하는 모임’(국사모)의 송영인 회장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장성민입니다’에 출연해, 천 전 원장이 공씨의 도청 테이프 유출 사실을 알면서도 그를 처벌하는 대신 ‘뒷거래’를 통해 위법 행위를 무마해줬다고 주장했다. 그는 도청 테이프에 김대중 정부와 관련된 내용이 있었으며, 천 전 원장은 테이프 폭로를 막기 위해 공씨에게 이권까지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이날치 <중앙일보>는 소식통의 말을 따, 천 전 원장이 공씨한테서 회수한 테이프 중 상당수를 당시 권력 실세인 ㅂ씨에게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천 전 원장 쪽은 “오래전 일이라 기억에 없다”며 “당시 엄익준 차장, 이건모 감찰실장 등이 처리한 일을 보고만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반박했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