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21 17:50 수정 : 2005.01.21 17:50

정일영 한일회담 당시 외무차관

한­일 회담 당시 한국이 일본에 제시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103만2천여명이란 수는 자료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주먹구구로 뽑은 것이었다고 정일영(79) 당시 외무부 차관이 21일 밝혔다.

1960년 10월부터 2년 동안 국제법 전문가로서 한­일 회담에 참가하고 이듬해 외무부 차관으로 발탁된 그는 “당시 우리가 만든 수치는 거의 소설로, 재판소에 가도 증거능력이 없는 것”이라면서 이렇게 밝히고, “관련 자료는 일본이 다 갖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공개된 한­일 협정 관련 문서는 당시 정부는 일제 강점기에 노동자·군인·군속 등으로 끌려간 피해자 103만2천여명에 대해 1인당 생존자는 200달러, 사망자는 1650달러, 부상자는 2000달러의 보상금을 제시한 것으로 돼 있다.

그는 “당시 경제기획원 장관실에서 열린 한­일 회담 관계 국무회의에서 부처별로 피해자 현황을 제출받았는데, 내무부는 면사무소에 물어 몇 명이라고 보고하는 등 기가 차더라”며 “피해자가 몇 명인지 우리 저금이 얼마인지 통계가 없었고, 한국은행에도 자료가 없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결국 피해자 산출 근거가 없어 포괄적으로 돈을 받았고, 한국인 전체가 피해자라고 생각해 그 돈을 경제발전에 썼던 것”이라며 “3억달러를 103만명에게 나눠주라고 했더니 딴 데 썼다는 식의 주장은 말이 안 된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 쪽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조선땅에 있던 모든 재산을 다 넘겨주지 않았느냐, 뭘 더 자꾸 받아가려 하느냐’며 회담 내내 소극적으로 나왔다”며 “우리로선 증거를 찾기 힘들고 사무적으로 해결하기에는 언제 끝날지 몰라 정치적으로 타결하고자 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유강문 기자, 연합 moo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