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 국가안전기획부 불법도청 팀장이었던 공운영씨가 구속된 4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밤늦도록 불이 환하게 켜져 있다. 장철규 기자 chang21@hani.co.kr
|
김대중정부 실세 도청자료 은폐
DJ에게도 보고됐을 가능성
박지원 전 문화관광부 장관과 천용택 전 국정원장 등 김대중 정권의 실세들이 ‘엑스파일’의 내용을 은폐한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도덕성 시비가 일 것으로 보인다. 만일 내용을 알았을 때(1999년) 적법하게 처리했다면, 삼성의 불법자금 살포나 검사들의 떡값 수수 등 불법행위에 대한 수사가 훨씬 쉽고 공소시효 문제도 걸리지 않아 그 실체를 더욱 낱낱이 드러낼 수 있었지만, 자신들이 관련된 내용 때문에 아무런 조처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은폐 전모=미림팀장 공운영씨와 박인회씨 등 관련자들의 진술을 종합하면, 옛 여권의 실세들이 삼성의 불법행위 사실을 파악한 것은 99년 9월께다. 공씨한테서 도청 테이프와 녹취록을 건네받은 박씨는 9월 말께 이학수 삼성 구조조정본부장과 박지원 문화관광부 장관을 찾아가 녹취록을 건넸다. 박 전 장관과 삼성 쪽이 모두 이를 천용택 당시 국정원장에게 ‘신고’하면서 천 전 원장도 내용을 파악했다. 천 전 원장은 이건모 감찰실장에게 지시해 도청 테이프와 녹취록을 회수했고, 이 전 실장이 내용을 모두 파악한 뒤 이를 폐기한 것으로 돼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천 전 원장은 박 전 장관 및 삼성과 긴밀한 협의를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천 전 원장은 이 사건이 불거진 뒤 “대략적인 보고를 받은 일은 있지만, 내용은 전혀 모른다”고 한 차례 해명한 뒤 입을 닫고 있다. 박 전 장관에게 관련 내용을 전해들었다는 대목도 먼저 밝히지 않았다. 마치 아래에서 다 한 것을 결과만 보고받았다는 식이었다.
|
김대중 정부의 사건 파악 및 은폐 흐름도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