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아직 최종 절차가 남아 있지만, 이 위원이 시민사회수석으로 유력하다”며 “이 위원이 대구·경북 지역 시민사회의 대표적 인물로 줄곧 사회운동과 시민운동을 해 온 점이 평가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이 위원이 노무현 대통령과 10년 이상 동고동락한 정치적 동지로, 노 대통령의 뜻과 국정기조를 시민사회에 잘 설명할 수 있는 적임”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위원이 올해 초 당내에서 집행위원을 맡는 등 정치적 의욕을 보인 것과 관련해 일각에서는 시민사회수석을 맡기에는 정치 색채가 너무 강한 인물이라는 지적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시민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업무를 해나가는 시민사회수석의 기능에는 변화가 없다”며 “정무적 역할의 강화와도 관계가 없으며, 당정관계는 기본적으로 내각과 청와대 정책실이 맡는 기존 구도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은 당내에서 영남 세력의 좌장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지만 별다른 공직을 맡지 못했으며, 지난해 4월 총선에서는 대구 동구에 출마했다가 낙선했다. 당내에서는 이 위원을 ‘왕특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난 대선 때는 노무현 후보의 조직특보를 맡아 여당의 불모지인 대구·경북 지역의 선거운동을 총괄한 바 있다.
한편, 사퇴 의사를 밝힌 이병완 홍보수석은 장·차관 워크숍 등 남은 과제를 마무리해 달라는 노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2월 초까지 계속 근무를 할 예정이며, 후임도 그 이후에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백기철 기자 kcbaek@hani.co.kr
![]() | ||||
![]() |
청와대 시민사회수석 유력…이강철씨 누구인가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으로 유력시되고 있는 열린우리당 이강철 집행위원은 `노무현 대통령 만들기'에 앞장서 온 노대통령의 핵심 시니어 참모이다. 이 위원은 경북대 재학 시절인 지난 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돼 7년 6개월간 복역했으며, 이후 경북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사무국장을 맡는 등 대구.경북 지역재야 운동권을 주도했다.
노 대통령과는 지난 87년 `양김 단일화' 활동을 같이 하며 첫 인연을 맺었고, 90년대 초반 `꼬마민주당'과 국민통합추진회의(통추) 활동을 함께 하며 노 대통령의 `정치 동반자'가 됐다.
지난 97년 대선 때 `통추 후보' 여론이 있었을 때 노 대통령에게 출마를 권유하기도 했으며, 당시 노 대통령은 "나 보고 대통령이 되라고 하는 사람은 당신밖에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 위원의 정치적 입지는 지난 2002년 대선을 거치며 한층 강화됐다.
노무현 후보 조직특보 직함을 갖고 당시 민주당으로서는 불모지나 다름없는 대구.경북지역 선거 총책을 맡았기 때문이다.
대선 승리 이후에는 노 대통령의 정무 특보 역할을 꾸준히 해왔으며, 실제로 참여정부 출범 초반에는 사실상 정무 특보로 내정됐으나, `특보정치' 논란으로 직함을갖지는 못했었다.
하지만 "정치를 하려면 확실하게 하고 아니면 삼계탕 장사를 하는 게 나을 것"이라는 노 대통령의 조언에 따라 당에 잔류하면서 영남에서의 참여정부 지지세 확보에 열을 올렸다.
또한 지난해 4.15 총선을 앞두고 열린우리당 영입추진단장 등을 맡아 외부 인사를 `징발'하는데 힘을 기울이는 등 참여정부의 보이지 않는 조력자 역할을 함으로써`왕특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특히 총선 당시 당내 `비선 조직'을 만들어 현직장관 징발 등 여권인사영입을 `공개적'으로 주도한 것도 공공연한 비밀이다.
하지만 노 대통령의 또다른 시니어 핵심 참모인 염동연 의원과 달리 지난 총선 때 대구 동갑에서 낙선하는 등 88년 이후 연거푸 4차례 낙선하는 개인적 아픔을 겪기도 했다.
노 대통령은 정치적 고비 때마다 옆에 있어온 이 위원에 대해 `마음의 빚'을 지고 있다고 한다.
이를 반영하듯 노 대통령은 취임식 다음날인 2003년 2월26일 염동연 의원과 함께 이 위원을 따로 불러 식사를 함께 하며 "두 분이 있었기에 오늘의내가 있었다. 결코 잊지 않겠다"고 속마음을 전하기도 했었다.
한편 이 위원이 갖고 있는 정치적 입지로 인해 이 위원이 시민사회수석을 맡게될 경우 정무적 역할 확대 등 그 기능에 적지 않은 변화가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여권 관계자는 "당정관계는 기본적으로 내각과 청와대 정책실이 정책적으로 해나갈 것"이라며 "시민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업무가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 ![]() | ||
![]() |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