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충탑에 참배하는 북측 대표단 김기남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등 북측대표단 일행이 14일 국립묘지 현충탑앞에서 참배하고 있다 .
|
대표단 현충원 참배…8·15축전 개막
15일 겨레에 호소문·대일성명 발표
남북이 광복 60돌인 올해를 분단과 전쟁의 상흔을 치유하는 시발점이자 통일로 가는 전환점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확인했다. 14일 오후 8·15 민족대축전에 참가한 북쪽 대표단은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을 참배했다. 참배는 10초간의 묵념을 포함해 5분 만에 끝났다. 분향과 헌화가 생략돼 아쉬움도 남겼다. 그러나 북쪽 당국 대표단장인 김기남 당 비서 겸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은 참배 뒤 현충원을 떠나며 “민족의 화합을 위해 앞으로 일들을 많이 합시다”라고 말했다. 북쪽의 다른 고위 대표는 “하나의 역사적 전기”라며 “다 화해의 표시이고 화해로 가는 길”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남쪽 정부 대표단장인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남북이 민족의 역사를 공유하기 시작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쪽의 이날 참배에는 김 단장 외에 림동옥 조평통 부위원장 등 당국 대표단 14명, 민간 대표단에서 단장인 안경호 조평통 서기국장과 성자립 김일성종합대 총장 등 13명, 기자 5명을 포함해 모두 32명이 참석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이날 오전 현충원 참배에 앞서 워커힐호텔에서 김기남 북쪽 단장을 맞이하면서 북쪽의 참배 의사를 “새로운 미래로 가자는 충정과 결단으로 받아들이고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단장은 “대표단이 광복절에 즈음해 방문하니 조국 광복을 위해 생을 바친 분이 있어 방문하겠다는 의견을 제기한 것”이라고 답하며 전쟁 희생자에 대한 추모는 피해갔다. 그동안 광복은 남북이 따로였다. 2000년 6·15 남북 정상회담 이후에야 8·15는 남북이 같이 하는 행사가 됐다. 이제 ‘참배’는 광복절이 진정한 남북의 공동 행사가 될 수 있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북쪽 대표단의 현충원 참배가 담고 있는 한반도 평화에 대한 강한 메시지는 현재 진행 중인 북핵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북쪽 대표단의 현충원 참배에 이어 오후 5시50분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에서 광복 60돌 기념 ‘자주 평화 통일을 위한 8·15 민족대축전’이 개막됐다. 개막식 뒤 저녁 7시부터 열린 남북 통일축구 남자팀 경기는 세종로에서 진행된 광복절 전야제 행사와 어우러지며 남북 화합의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앞서 북쪽 당국 대표단 17명은 민간 대표단 100명, 남녀축구 선수단 65명과 함께 이날 오전 10시께 고려항공 전세기편으로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민족대축전 이틀째인 15일에는 오전 9시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본행사가 열려 각 대표단 등이 참가한 가운데 ‘겨레에게 드리는 호소문’을 낼 예정이며, 그 뒤 서대문형무소를 참관하는 자리에서는 대일 성명이 발표된다. 공동취재단, 강태호 정인환 기자 kankan1@hani.co.kr
북 대표단 내일 국회방문 8·15 민족대축전에 참가하고 있는 북한 대표단이 오는 16일 사상 처음으로 국회를 방문한다. 김기만 국회의장 공보수석은 14일 “북한 대표단과의 실무접촉에서 16일 오전 국회를 방문하겠다는 원칙적인 의사를 통보받았다”며 “구체적인 절차는 아직 조율 중이지만, 북한 대표단의 사상 첫 국회 방문은 거의 확정적”이라고 전했다. 국회를 방문하는 북쪽 인사는 김기남 당국 대표단장과 림동옥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 민간대표 등 50여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16일 오전 11시께 김원기 국회의장을 만나 남북 국회회담 개최 방안 등을 논의한 뒤, 남쪽 및 재외 대표단, 여야 의원 등 250여명과 함께 김 의장이 주최하는 오찬에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다. 최익림 기자 choi21@hani.co.kr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