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요 부처가 지방으로 이전한 뒤, 세종로 일대를 문화광장으로 조성하고 정부1청사(중앙청사)는 강북 국립도서관으로, 문화관광부 건물은 근현대사 박물관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위원장 성경륭)는 27일 국회에서 열리는 ‘미래 서울발전 토론회’에서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 거점도시 육성을 위한 서울시 발전전략 연구’를 발표할 예정이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그동안 건설교통부·환경부·문화관광부 등 정부 부처와 더불어 행정수도 이전 이후의 수도권 발전 방안을 논의해 왔다.
이 보고서는 “정부청사 이전지 활용 방안을 놓고 연구용역을 맡긴 결과, 광화문 일대는 공공 및 문화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이, 과천청사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정보·벤처 단지를 조성하자는 의견이 다수로 나왔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용산 미군부대 이전지 한쪽에 다국적 기업과 국제기구 등 국제업무 단지를 조성하는 등 서울 주요 권역별로 지식기반산업 단지를 육성하는 방안을 추진하도록 했다. 서울대 병원, 고려대 한국인공장기센터, 경희대 의료원 등을 잇는 지역은 ‘강북 메디클러스터’로 지정해, 인공장기와 신약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사이버휴먼 연구소와 전문화 임상시험센터를 설립하도록 했다. 또 동대문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의류패션 클러스터’를 육성하기 위해, 서울국제디자인 연구소를 설립해 국제적 인력을 양성하는 한편, 이 지역을 도시문화 관광지역으로 지정하고 패션거리를 조성하도록 했다.
보고서는 외국인 투자를 유인하고 연구개발 기능을 유치하기 위해, 지방세와 임대료를 감면하고 투자 인센티브 제도 등을 정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서울을 선진국 수준의 친환경적 생활환경으로 가꾸기 위해, 녹지확보 기준을 설정해 구별로 의무화하는 ‘도시녹지 총량제’를 도입하도록 했다.
김의겸 황준범 기자 kyummy@hani.co.kr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