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1.10 21:46 수정 : 2018.01.10 22:08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신년사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12·28 합의 후속 대응
“일본 진실 인정하고 진심 사죄
그래야 할머니들이 용서할 것”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신년사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12·28 한일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후속조처와 관련해 “이미 앞 정부에서 공식합의를 했던 일이어서 현실적인 방법을 찾은 것”이라며 “위안부 문제는 기본적으로 진실과 정의의 원칙에 의해서 해결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새해 기자회견에서 “일본이 진실을 인정하고, 진심으로 사죄하고, 다시는 그런 일이 없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해 나갈때 할머니들이 일본을 용서할 수 있다”며 “그것이 완전한 위안부 문제의 해결”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외교부는 전날 일본이 출연한 10억엔을 정부예산으로 충당하고, 일본에 ‘12·28 합의’ 재협상은 요구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12·28 합의’ 후속조처를 내놓은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일본에 대해 진실과 정의라는 원칙에 입각한 해결을 촉구할 것”이라면서도 “그것은 우리가 기존의 합의를 파기하고 재협상을 요구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 ‘10억엔 처리 방안’에 대해선 “그 돈이 위안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일본과 위안부 할머니들, 시민단체들이 동의한다면 (10억엔 사용도) 바람직할 수 있다고 본다”며 “조금 더 시간을 가지고 일본과 할머니들을 비롯한 관련 단체들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기자회견에 앞서 밝힌 신년사에서 “한일 양국 간에 공식적인 합의를 한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일본과의 관계를 잘 풀어가야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조처를 취해나가겠다”면서도 “일본과 마음이 통하는 진정한 친구가 되기를 바란다. 지금까지 천명해 왔던 것처럼 역사 문제와 양국간 미래지향적 협력을 분리하여 노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사과와 추가 대응을 요구하되, 위안부 문제를 전반적인 한-일 관계와 연계시키지 않겠다는 뜻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