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으로 사라진 ‘3김 시대’ 의미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경쟁과 제휴로 대한민국 정치 좌우
1970년대부터 여야의 유력한 지도자…2000년대까지 주역
후보 공천권과 정치자금으로 국회의원들을 수족처럼 부려
영남 호남 충청 지역주의 결합한 강력한 카리스마 휘둘러
23일 별세한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김대중·김영삼과 함께 197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30여년간 대한민국 정치사의 명실상부한 주역이었다. 세 사람의 경쟁과 제휴로 정권의 향배가 바뀌었고 대한민국 운명도 달라졌다.
‘3김’이 처음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 것은 1970년대였다. 김영삼-김대중은 야당, 김종필은 여당의 유력한 정치 지도자였다. 1979년 박정희가 사망하자 3김 중에서 한 사람이 정권을 잡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세 사람은 치열하게 경쟁했지만, 쿠데타를 일으킨 전두환 신군부를 당해낼 수 없었다.
신군부는 취약한 정통성을 보강하려고 3김을 희생양으로 삼았다. 김종필은 부정축재자로 지목해 재산을 환수하고 정치활동을 금지했다. 김영삼은 가택 연금했다. 김대중은 내란음모 사건을 조작해 사형 선고를 했다가 미국으로 쫓아냈다.
그러나 민심은 3김 쪽에 있었다. 1987년 6월항쟁으로 대통령직선제 개헌이 이뤄졌고 3김은 그해 12월 대선에 통일민주당(김영삼), 평화민주당(김대중), 신민주공화당(김종필) 후보로 각각 나섰다. 김영삼 28.03%, 김대중 27.04%, 김종필 8.06%였다. 당선자는 36.64%를 얻은 노태우였다.
재야와 시민사회에서 “3김 물러가라”는 구호가 터져 나왔다. 그러나 3김은 1988년 13대 총선에서 평화민주당 70석, 통일민주당 59석, 신민주공화당 35석을 얻었다. 정치를 계속할 기반을 확보한 것이다.
이후 1990년 3당 합당, 1992년 김영삼 대통령 당선, 1995년 자유민주연합 창당, 1997년 디제이피(DJP) 연합 및 김대중 대통령 당선, 2000년 총선 뒤 ‘자민련에 의원 꿔주기’까지, 대한민국 정치는 거의 3김의 경쟁과 제휴에 의해 이뤄졌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정치개혁과 세대교체를 요구하는 사람들이 끊임없이 ‘3김 청산’을 외친 이유다.
|
1988년 서울 수유리 아카데미하우스에서 만난 3김. 왼쪽부터 당시 김종필 공화당 총재, 김영삼 민주당 총재, 김대중 평민당 총재. 연합뉴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