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06 10:06 수정 : 2005.02.06 10:06

열린우리당이 최근 기간당원들의 손으로 직접 뽑은 당원협의회장 `인준' 문제를 놓고 고심에 빠졌다.

우리당은 4.2 전당대회를 앞두고 전대 투표권을 가진 당원협의회장의 인준을 서둘러 하부조직 정비를 끝내야 하는 입장이지만 선출된 협의회장중 일부 인사에 대해전과 경력 등 도덕적 하자 시비가 제기되고 있기때문이다.

6일 중앙당과 각 시.도당에 따르면, 서울시당 A 선거구에서 선출된 모 당원협의회장의 경우, 폭력 등 전과 기록이 14건이며 이중 실형을 산 것만도 모두 3차례에이른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 호남권 B 선거구 당원협의회장은 주점을 운영해 왔다는 제보가 도당에 접수됐으며, 충청.영남권역 일부 선거구 당원협의회장들은 지난해 4월 총선 과정에서 사실상 우리당에 적대적 선거 운동을 하는 `해당행위'를 했다는 사실이 시.도당에 보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복수의 선거구에서는 조직동원 과열 등 경선 후유증으로 인해 뒤늦게선거결과 불복 논란이 일면서 잡음이 꺼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우리당은 인준권을 가진 각 시.도당의 선관위 등을 가동, 당원협의회장들의 이력서를 정밀 검토하는 등 부산하게 움직이고 있다.

서울시당 핵심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일부에서 제기된 전과문제 등에대해 정확한 최종 확인 작업을 거치고 있다"면서 "법, 도덕 중 어떤 잣대로 판단해야 할 지 고민스럽다"고 말했다.

중앙당 관계자는 "서울시당 A 선거구의 경우 선거 전부터 그같은 내용이 파악됐으나 피선거권을 제한할 길이 없어, `부적절하지 않겠느냐'는 의견만 시당에 전달했다"면서 "인준이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우리당 당규에 따르면 당원협의회장 인준은 각 시.도당 상무위원회가 갖고있으며, 선출된 날로부터 2주일 안에 인준 여부를 결정토록 돼있다.

일각에서는 "중앙당 지도부가 지난달말 인준되지도 않은 이들 당원협의회장을불러 모아 워크숍을 개최한 것은 너무 성급했던게 아니냐는"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중앙당 관계자는 "보기에 따라서는 당원협의회장으로 인준하기에는 부담이 없지 않은 경우들이 더러 있지만 기간당원들이 직접 뽑은데다 전대를 앞두고 시간이 촉박해 대체로 인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