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그린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선임국장은 지난달 31일 도쿄시내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자민당 간사장 대리와 만난 자리에서 납치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부의 대북 경제제재는 미국과 충분히 협의한 후 발동여부를 결정하는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6자회담 조기 개최를 위해 서두르고 있는 미국도 일본이 '가짜 유골' 사건으로 오히려 미국보다 앞서 나가면서 대북경제 조치를 취하려는데 별로 달가워하지 않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북한도 미국의 이같은 속내를 읽고 있는데다 일본정부가 대북정책에서 미국과같이할 수 밖에 없다는 판단아래 일본이 경제제재를 발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6자회담과 연계지었다는 것이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북한은 일본인 납치문제를 최고지도자의 결단으로 이미 풀었는데 일본이 북한의 선의를 왜곡하고 계속 이슈화하고 있는 것이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며 "6자회담에서 미국 뿐 아니라 일본도 문제라고 지적해 일본을 압박한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
북 외무성, 일 납치문제 거론 배경 |
북한 외무성은 10일 성명에서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참가를 무기한 중단하겠다고 밝히면서 이례적으로 일본의 납치문제를 거론해 주목된다.
외무성은 성명에서 일본이 미국에 추종해 대북 적대정책에 집요하게 매달리고있다며 "이미 다 해결된 납치문제를 걸고 가짜 유골문제까지 조작하면서 평양선언을백지화하고 국교정상화를 하지 않겠다는 일본과 어떻게 한자리에 마주앉아 회담할수 있겠는가"고 지적했다.
북한이 6자회담과 일본인의 납치문제를 연계지은 것은 극히 드물다.
지난해 12월 23일 조선중앙텔레비전이 시사해설을 통해 납북 일본인 요코다 메구미의 '가짜 유골' 사건을 거론하면서 "자그마한 신의도, 도의도 없이 행동하는일본과 6자회담에 마주앉는다는 것이 힘들게 됐다"고 주장하는 등 한두차례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부시 2기 행정부의 대북 적대정책과 함께 일본의 대북경제 제재 움직임도 6자회담 개최의 걸림돌로 내세워 일본을 강도높게 압박하려는 의도로 분석하고 있다.
지난해 요코다 메구미의 `가짜 유골' 사건이 터진 후 북일관계는 일본이 대북경제제재와 `북조선 인권법' 제정이라는 초강수를 꺼내 들면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으나 돌파구가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어차피 6자회담 참가를 무기한 중단하겠다고 밝히기로 한 마당에 일본인납치문제까지 싸잡아 거론함으로써 6자회담 참가국인 일본정부에 경고를 보냈다는 관측이다.
전문가들은 또 일본이 더 이상 납치문제를 갖고 북한을 압박하지 않도록 미국이압력을 행사해 줄 것을 간접적으로 촉구한 것으로 보고 있다.
마이클 그린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선임국장은 지난달 31일 도쿄시내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자민당 간사장 대리와 만난 자리에서 납치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부의 대북 경제제재는 미국과 충분히 협의한 후 발동여부를 결정하는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6자회담 조기 개최를 위해 서두르고 있는 미국도 일본이 '가짜 유골' 사건으로 오히려 미국보다 앞서 나가면서 대북경제 조치를 취하려는데 별로 달가워하지 않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북한도 미국의 이같은 속내를 읽고 있는데다 일본정부가 대북정책에서 미국과같이할 수 밖에 없다는 판단아래 일본이 경제제재를 발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6자회담과 연계지었다는 것이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북한은 일본인 납치문제를 최고지도자의 결단으로 이미 풀었는데 일본이 북한의 선의를 왜곡하고 계속 이슈화하고 있는 것이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며 "6자회담에서 미국 뿐 아니라 일본도 문제라고 지적해 일본을 압박한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마이클 그린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선임국장은 지난달 31일 도쿄시내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자민당 간사장 대리와 만난 자리에서 납치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부의 대북 경제제재는 미국과 충분히 협의한 후 발동여부를 결정하는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6자회담 조기 개최를 위해 서두르고 있는 미국도 일본이 '가짜 유골' 사건으로 오히려 미국보다 앞서 나가면서 대북경제 조치를 취하려는데 별로 달가워하지 않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북한도 미국의 이같은 속내를 읽고 있는데다 일본정부가 대북정책에서 미국과같이할 수 밖에 없다는 판단아래 일본이 경제제재를 발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6자회담과 연계지었다는 것이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북한은 일본인 납치문제를 최고지도자의 결단으로 이미 풀었는데 일본이 북한의 선의를 왜곡하고 계속 이슈화하고 있는 것이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며 "6자회담에서 미국 뿐 아니라 일본도 문제라고 지적해 일본을 압박한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