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허블이 알린 ‘창조의 기둥’ 지탱하는 자기장 지도 첫 관측
허블 우주망원경의 관측 영상 중에서 신비하면서 아름다운 우주 영상으로 널리 알려진 하나가 ‘창조의 기둥(Pillars of Creation)’이다. 7000광년 떨어진 뱀자리 독수리성운(또는 수리성운, ...
2018-06-25 10:27
마음의 스트레스와 몸의 면역질환 “연관 있다”
‘마음이 아프면 몸도 아프다’, 또는 거꾸로 ‘몸이 아프면 마음도 아프다.’ 누구나 한번쯤은 겪었을 법한 마음 건강과 몸 건강의 상관관계가 100만 명 넘는 인구의 건강 데이터 통계분석을...
2018-06-21 17:38
인공지능과 인간의 ‘토론 배틀’ 결과는?
토론 주제는 ‘우주탐사 자금 지원’과 ‘원격 진료’ 인공지능과 인간 사이에 또 하나의 흥미로운 대결이 펼쳐졌다. 이번에는 토론 배틀이었다. 토론은 바둑이나 체스와는 달리 명확한 규...
2018-06-21 05:33
수중 스텔스 잠수함 만들 메타물질 개발
국내 연구진이 전파에 탐지되지 않는 스텔스 전폭기처럼 물속에서 음파에 탐지되지 않는 스텔스 잠수함을 만들 수 있는 ‘메타물질’을 개발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과 광주과학기...
2018-06-20 10:39
화성, 다음달 말 지구 최근접…맨눈으로도 볼 수 있어
화성이 다음 달 말 15년 만에 지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해 맨눈으로 더 크고, 더 밝게 관찰할 수 있다고 한다. 초여름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의 광활함을 느낄 좋은 기회인 듯하다. 19일 ...
2018-06-19 10:34
‘작살낚시 하듯이…DNA 사냥하는 박테리아’ 영상 포착
미생물인 플랑크톤이 먹이를 사냥하는 장면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작은 몸에 일종의 발사장치를 갖추고서 자포(nematocysts)라 불리는 작살 모양의 발사체를 쏘아 먹잇감을 사냥하는 모습(...
2018-06-18 16:20
혹사로 망가지는 눈과 귀…이것도 진화의 과정일까
“눈은 커지고 피부는 까매지며, 눈꺼풀은 두꺼워진다.” 몇년 전 한 그래픽디자이너가 우주생활시대를 가정해 그려본 미래 인간의 얼굴이다. 예측의 과학적 근거와 상관없이 인간 진화의 미래...
2018-06-18 06:00
인간 뉴런 10만분의 1이지만…꿀벌도 ‘0’ 개념 안다
아이들은 몇 살 때쯤 수의 개념을 터득할까? 서너살쯤 된 보통의 아이는 3이나 4까지 헤아릴 수 있겠지만 수 체계를 명확히 이해하기는 버겁다. 로마인들은 넷째 아들까지만 이름을 지어주고...
2018-06-18 06:00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