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헷갈리는 우주팽창속도…중력파가 해결해줄까
    ‘67’인가 ‘73’인가? 아니면 또 다른 새로운 숫자일까? 우주 관측과 이론을 종합한 체계인 현대 우주론은 우주가 가속 팽창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주 공간은 얼마나 팽창하고 있을까? ...
    2018-05-07 07:00
  • 시대를 너무 앞서갔던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
    영국 런던에서 미국 뉴욕까지 비행기를 타면 7시간 이상이 걸린다. 그런데 40년 전에는 3시간 반 만에 갈 수 있었다.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가 있었기 때문이다. 1976년 취항해서 2003년까지 ...
    2018-05-07 06:00
  • 미, 화성 땅속 탐사선 첫 발진
    2030년대 화성 여행을 추진중인 미국이 사상 처음으로 화성 땅속을 탐사하는 착륙선을 발사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의 24번째 화성 탐사선이다. 나사는 5일 오전 4시5분(현지시간, 한국시...
    2018-05-05 20:27
  • 꽃잎 떨어질 때, 식물세포들은 ‘분업과 협업’ 분주하다
    적당한 때가 되면 잎을 떨구고 꽃을 떨구는 일은 식물의 발달과 성장에 꼭 필요한 과정이다. 하지만 낙엽, 낙과, 낙화와 같은 식물의 탈리(분리)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는 세포 수준에서 ...
    2018-05-04 00:00
  • 연구실의 외국인 동료, 가장 좋은 점은?
    국내 과학기술 연구실의 연구성과들 중 일부는 연구실에서 함께 생활하는 외국인 연구자 덕분이다. 외국인이 주도하는 연구도 있을 것이다. 지난 10여 년 사이에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에는 ...
    2018-05-01 11:20
  • 지식사회의 교육 변혁, 어떻게 이룰까
    산업사회에서 지식사회로 가는 전환기 지난 글에서 밝혔듯, 현재 우리의 교육 시스템은 산업사회에 필요한 노동자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150년간 교실의 모습은 바뀌지 않...
    2018-04-30 09:52
  • “포항지진은 지열발전 시추·물 주입에 의한 유발지진”
    지난해 11월15일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지진은 지열발전을 위한 시추와 물 주입이 원인으로 분석된다는 국내외 연구팀의 논문 2편이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실렸다. 이진한 고려대...
    2018-04-27 03:01
  • ‘뇌 기억의 저장소’ 70년 학설, 실험으로 확인
    기억은 뇌 어디에 담겨 있는 걸까? 현재 학설이 말하듯이 신경세포(뉴런)들의 연결인 ‘시냅스’에 저장된다면, 어떤 기억이 생성되고 저장될 때 수많은 시냅스들 중에 실제로 어떤 시냅스들이...
    2018-04-27 03:01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