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박테리아 수백종 모여도 안정적 공존 생태계 비결은?
박테리아는 빠르게 증식한다. 생존조건이 맞아떨어지면 대장균은 불과 20분마다 2배씩 증식한다. 반대로 환경 조건이 불리해지면 급속히 사멸해버린다. 이처럼 빠르게 증식하고 사멸하는 박...
2018-04-25 16:59
가장 단단한 광물 다이아몬드, 나노세계에선 ‘구부러진다’
다이아몬드는 천연광물 중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이다(경도가 가장 크다). 그래서 다이아몬드에 흠을 낼 수 있는 건 다이아몬드밖에 없다는 말은 널리 알려져 있다. 딱딱한 다이아몬드는 깨지...
2018-04-24 15:44
운동선수 운명을 바꾼…“감기약, 조심하세요”
1994년 6월 17일, 전국 육상경기 선수권대회의 남자 800m 경기에서 한 육상 선수가 1분 44초 14의 기록으로 결승점을 통과했다. 2년 전부터 800미터에서 금메달을 휩쓸던 선수였으니 1위로 ...
2018-04-23 14:04
‘다음 1만년’을 ‘지금 이 순간’이라고 부르는 이유
‘지금 이 순간'이란 말은 얼마만한 시간 길이를 가리키는 표현일까? 1초, 1분, 1시간, 하루, 한 달? “지금 이 순간 지금 여기/ 간절히 바라고 원했던 이 순간/ 나만의 꿈이 나만의 소원...
2018-04-23 06:01
보물이 된 ‘똥’…한국인 표준 장내미생물을 찾아라
우리 장에는 최소 1000종 이상의 미생물이 사는 것으로 추론된다. 대변에는 대장에 살고 있는 미생물들이 포함돼 있다. 대변에서 수분을 뺀 나머지의 40% 정도가 미생물이다. 대장 미생물들...
2018-04-23 06:01
부품 필요 없는 종이접기…로봇공학을 바꾼다
지난 18일 찾아간 서울대 공대 301동의 ‘인간중심 소프트로봇 기술연구센터’에선 연구원 책상 위에 굴러다니는 이리저리 접힌 종이들을 쉽게 볼 수 있었다. 대부분 대학원생인 연구원들 중 ...
2018-04-23 06:01
2세대 외계행성 척후병, 우주로 출발
케플러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미 항공우주국(NASA)의 외계행성 탐사 망원경 `테스'(TESS=Transiting Exoplanet Survey Satellite)가 18일 오후 6시51분(현지시간, 한국시간 19일 오...
2018-04-19 08:58
금속으로 거울대칭 나노구조 최초 합성
국내 연구진이 생체분자에서만 가능한 기하구조로 알려진 ‘거울상 대칭구조’를 금 나노입자에서 처음 구현했다. 그동안 금속 등 무기 분야에서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구조여서 재료 분야...
2018-04-19 01:59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