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인류는 1만년 전부터 지구를 ‘망치기’ 시작했다
    현대가 ‘인류세’(Anthropocene) 곧 인류로 인한 지구온난화와 생태계 침범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학적 시기라는 데 대해서는 큰 논란이 없지만, 인류세가 언제 시작했는지는 여전히 논쟁거리...
    2019-09-03 10:08
  • 2017년 발견된 목성 위성 5개, 새 이름 받았다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은 덩치에 걸맞게 가장 많은 위성을 거느리고 있다. 그래서 목성과 그 위성들을 합쳐 ‘작은 태양계’라고도 한다. 지금까지 인류가 확인한 목성의 위성은 모두...
    2019-09-03 08:00
  • 사람들이 원하는 ‘50년후 세상’ 기술 1위는?
    항공택시, 우주호텔, 수중고속도로, 자동청소주택, 3D 프린팅 장기, 오감 영화, 테이크아웃 곤충버거…. 전문가들이 기술 혁신이 만들어낼 것으로 예측하는 50년 후 세상의 단면들이다. 삼성...
    2019-09-02 10:31
  • 약물에서 물질로…수혈, 도핑의 개념을 바꾸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미국 자전거 대표팀은 눈부신 활약을 펼쳤다. 1912년 이후 단 한 개의 메달도 따지 못하던 기나긴 가뭄에 금메달 네 개를 포함해 총 아홉 개의 메달을 거두...
    2019-09-02 09:22
  • 세포막 본뜬 바이오센서…드라마 속 사이보그가 현실로
    1970년대 중반에 방영된 미국 드라마 주인공은 보통 사람 시력의 20배가 넘는 ‘천리안’을 가졌다. 자매편인 드라마 <소머즈>의 주인공은 지금도 뛰어난 청력의 대명사로 입에 오른다....
    2019-09-02 06:00
  • 우리나라 최초의 대중과학 잡지가 될 뻔한 ‘과학세계’
    국립과천과학관에서는 지금 ‘과학한국, 최초의 시도들 : 정보통신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기획전시를 하고 있다. 10월 중순까지 예정된 이 전시는 120년도 더 된 우리나라 최초의 전화기 모습...
    2019-09-02 06:00
  • 중소제조업 디지털 혁신 스마트공장 전환이 ‘길’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에 미래를 주도할 첨단 과학기술 여섯 가지를 정의한 지도 10년이 넘었다. 정보통신기술, 생명공학기술, 나노기술, 환경공학기술, 우주항공기술, 문화콘텐츠기술이 그것...
    2019-09-01 21:28
  • “스마트폰 그만! 대신 먼저 공감해주세요”
    Q. 개학했는데 아이는 방학 때 습관 그대롭니다. 어떡하면 스마트폰도 적절하게 쓰면서 시간을 선용하게 할까요? A. 방학이 끝났지만 아이들은 여전히 스마트폰에 파묻혀 있습니다. ...
    2019-09-01 21:26
  • 로봇에 눈 달았을 뿐인데…사람들이 반색했다
    공항, 슈퍼마켓 등 곳곳에 안내로봇이 비치되는 등 로봇이 점점 더 생활 속으로 들어오고 있다. 최근 핀란드의 한 도서관에서 진행된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 실험은 향후 로봇 도입과 이용...
    2019-09-01 21:24
  • 최근 4년 지구 기온 역대 1~4위…2019년은?
    미국기상학회는 이번 달 발간하는 <기후연례보고서 2018>에서 지난해가 최근 3년에 이어 역사상 네 번째로 따뜻한 해로 기록됐다고 밝혔다. 보고서 작성에는 60여개 국가 470명 이상의...
    2019-09-01 17:5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