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광고

  • 딥페이크의 두 얼굴 ‘암 진단’ ‘합성누드’
    진짜와 식별하기 힘든 가짜 영상을 만들어내는 인공지능 딥페이크(deep fake) 기술을 활용한 상반된 사례가 보고돼 눈길을 끈다. ‘MIT 테크놀로지리뷰’ ‘바이스(Vice)’ 등 외신에 딥페이크를...
    2019-07-09 16:07
  • 방귀 적게 뀌는 젖소, 장내미생물로 골라 메탄가스 줄인다
    국제 연구팀이 메탄가스를 덜 생산하는 장내 미생물을 지닌 소를 선택해 육종하는 방법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젖소가 생산하는 우유를 챔피언으로 만드는 것은 ...
    2019-07-08 16:29
  • 몽환적 과학기술 예측을 경계한다
    21세기 사회변동의 핵심동인이 된 과학기술 20세기 말 이후 21세기 들어서 인류사회의 변화동인 중 과학기술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데 미래학자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 사...
    2019-07-08 14:27
  • 성경(Bible)에서 신(God)을 빼면 무엇일까?
    현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이 가장 활짝 꽃을 피우고 있는 두 분야로 시각과 언어가 꼽힌다. 심층신경망 기술은 컴퓨터의 시각 인지와 언어 이해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인간...
    2019-07-08 10:41
  • “기후변화 해결할 9억㏊ 삼림 들어설 여지 있다”
    지구가 품을 수 있는 삼림 면적은 44억㏊에 이르며 아직 9억㏊의 삼림을 더 만들 수 있어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연구팀은 4일(현지...
    2019-07-05 03:00
  • 흰 비행운에 감춰진 ‘지구온난화 효과’
    하늘 높이 떠다니는 항공기를 보노라면 꼬리쪽으로 구름을 남기며 지나가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를 비행운(비행기구름)이라고 한다. 보는 이에 따라서는 낭만적으로 비치는 하늘 ...
    2019-07-04 11:40
  • 인공지능, 아기처럼 실수통한 학습 ‘효과적’
    인공지능이 말을 배우는 아기처럼 실수를 통해서, 또는 특정 시기에 고유한 인지적 편향을 통해서 언어를 배운다면 어떻게 될까? 인공지능 신경망에 의도적으로 ‘잘못된 방법’을 통해 학습...
    2019-07-04 03:23
  • ‘브라질 트럼프’ 집권 뒤 매분 축구장 면적 아마존숲 사라져
    ‘브라질 트럼프’로 불리는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이 집권한 이래 1분마다 축구장 면적의 아마존 숲이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위성이 촬영한 영상 분석에서 올해 상반기 아...
    2019-07-03 09:2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