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빛나는 단백질 - 암치료의 새 길을 비추다
    최근 여름에 기승을 부리는 해파리에 대해 다룬 적이 있다. 하지만 죄를 미워하되 사람을 미워하지 말라는 말이 있듯이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파리가 해안을 점령하는 것이 문제가 될 뿐 해파...
    2009-01-05 17:27
  • [블로그] 간이식을 포기한 절망 속에 찾아온 희망, 잠든 간암
    B형간염에 의한 간경변(HBV associated LC)으로 저에게 진료를 받는 40대 중반의 아주머니가 있습니다. 남편과는 사별하고 직장을 다니며 고등학교를 다니는 둘째 딸과 막내 아들을 가르치고...
    2009-01-05 13:41
  • 소가 뒷걸음질 치다가 쥐를 잡게 된다
    2009년, 소의 해가 밝았다. 소는 옛날부터 농사꾼의 듬직한 존재였기에 부와 성실함을 상징하기도 한다. 우리 민족의 좋은 동반자 관계여서 그런지 유난히 소와 관련된 속담도 많은데, 그중...
    2009-01-02 18:37
  • 한붓그리기의 아버지
    최근 중등학교 수학문제들 중에 한붓그리기라는 주제로 위상수학이 소개되고 있다. 과거 중등교육 과정 중에는 경험해보지 못했던 것으로 우리나라 교육이 양적인 면에서 많이 발전되었다고 ...
    2008-12-31 18:31
  • 천문·진화론의 해…날아라 ‘한국형 위성발사체’
    묵은 해가 가고 새해가 오고 있다. 새해 2009년에는 진화론의 거두인 찰스 다윈의 탄생 200돌과 근대 과학의 초석을 닦은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관측 망원경 발명 400돌을 맞아, 지구촌 곳곳...
    2008-12-30 21:43
  • “인문 토양없으면 과학 발전도 없다”
    “철학·예술·문학이 발달하지 않고서 과학기술만 발달한 나라는 없습니다. 인문의 황무지에 과학자만 모아놓는다고 해서 과학기술이 발전할 수는 없지요.” “교육을 먼저 개혁해야 합니다. 사...
    2008-12-30 21:40
  • 미사일보다 빠른 극초음속 항공기
    공상과학 영화나 전쟁영화를 무척 좋아하는 필자는 공중전을 하는 장면을 보면 어려서부터 항상 궁금한 것이 하나 있었다. 왜 비행기는 로켓보다 빨리 날 수 없는 걸까? 로켓으로 추진되는 ...
    2008-12-29 19:03
  • 한국도 내년부터 ‘거대 마젤란 망원경’ 참여
    2009년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우리나라도 지구상 최대 광학망원경이 될 `거대 마젤란 망원경' 건립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다. 28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오는 2018년 칠레 안데...
    2008-12-28 11:0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