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상온에서 압력만으로 ‘따뜻한 얼음’ 만든다
    1994년 10월31일 ‘할로윈데이’에 미국 아메리칸 이글항공 4184편이 인디애나 폴리스에서 시카고 오헤어공항으로 가던 중 추락해 탑승인원 68명 전원이 사망하는 참사가 빚어졌다. 사후 조사...
    2019-05-30 11:59
  • “닥터로봇이 유치원생 매일 검진” 공중보건 새 과제
    로봇을 이용해 날마다 어린이들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이상 여부를 파악한 뒤 데이터베이스화해서 보건 통계로 사용하는 것은 좋은 일일까, 안좋은 일일까? 공중 보건과 디지털 감시에 대...
    2019-05-30 11:47
  • ‘번아웃’도 질병에 포함될까?…WHO가 본 특징 세 가지
    인류의 전체적인 생활 수준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지만, 덩달아 그 과정에서 받는 스트레스도 높아지고 있다. 사회 구성원들이 생산성 향상을 제1목표로 하는 산업조직에 편입되면서 이를 둘...
    2019-05-29 16:52
  • 동남아의 집중호우가 세계 대양 대순환에 ‘나비효과’
    동남아시아 지역을 통과하는 해류가 바람이 아닌 강수량에 따라 전지구 대양 대순환의 흐름을 바꾼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후변화로 이 지역 가뭄이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겨울...
    2019-05-29 11:29
  • “이제 ‘연구자 중심 연구개발’ 꼴 갖춰…내용 채우려면 시간 필요”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과학정책 중심에 과제 대신 연구자를 놓겠다”고 강조하며 △자율과 책임성이 강화된 연구개발 생태계로 전환 △청년 과학자의 꿈 실현 지원 △기초연구 자율성 보장...
    2019-05-29 06:01
  • 인간 등쌀에…작은 동물만 살아남는다
    일반적으로 자연 생태계 사슬에서 포식자는 피식자보다 덩치가 크다. 바다의 고래나 상어, 참치, 육지의 코끼리나 호랑이, 사자, 강이나 호수의 악어 등이 그런 사례다. 공룡의 시대인 중생...
    2019-05-28 17:17
  • ‘모나리자 동영상’과 ‘취한 펠로시’ 가짜 범람시대?
    지난 1주일새 인공지능과 소셜미디어 영역에 새로운 유형의 ‘가짜 영상’이 등장해 관심을 모았다. #1. 모나리자의 웃는 동영상이 등장했다. 삼성전자 러시아 모스크바 AI연구센터와 러...
    2019-05-28 11:40
  • 번개 맞은 로켓…어떻게 됐을까
    우주 공간을 향해 수직 상승하고 있는 로켓에 번개가 떨어지는 보기 드문 일이 일어났다. 27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위성항법장치용 위성을 실은 소유즈 로켓이 이륙 직후 번개를 맞았다. ...
    2019-05-28 09:12
  • 세계의 강들, 항생제 오염 심각…최고 300배까지
    항생제 남용, 관리 부실로 인해 전세계 강의 상당수가 위험할 정도로 높은 수준의 항생물질로 오염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27일(현지시간)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한 국제회의에서 발표됐다...
    2019-05-27 16:42
  • 알프스 다람쥐가 알려준 기후변화의 유전적 영향
    기후변화는 유전적 다양성에 영향을 끼쳐 생명체의 멸종을 이끌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베를린 샤리테의대 연구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빙하기에 살아 남아 알프스 고원에 군...
    2019-05-27 09:12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