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지구 온난화라는데…겨울 한파, 갈수록 길어진다
지구 온난화에도 불구하고 지난 30년 기상 통계에서 최근 10년의 한파일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여름 41도까지 치솟아 최고기온 1위를 기록한 강원도 홍천은 연간 최다 한파...
2019-01-07 06:00
미술전 아닌 AI기술 쇼케이스…창작 의도 더 중요
국내에서 인공지능 창작 도구를 활용한 미술전시회가 처음 열렸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해 네덜란드 델프트공대의 넥스트렘브란트 프로젝트와 프랑스의 인공지능화가 오비어스 등 인...
2019-01-06 21:39
“스마트폰 안부 나누는 게 시간허비 같아요”
Q. 스마트폰으로 새해 안부를 나누다보니, 눈도 나빠지고 시간 허비한 느낌 들어요. “스마트폰은 새로운 동거인…스타일 정해야” A. 건강도 챙기며 스마트폰을 더 유용하게 활용...
2019-01-06 21:29
기기 활용 넘어서는 ‘디지털교육2.0’ 시급
우리나라 국민들의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은 높은 편이다. 최근 국제전기통신연합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한국민의 평균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은 룩셈부르크, 아랍에미리트연합, 일본...
2019-01-06 21:27
3년 만에 찾아온 부분일식 6일 아침 만난다
6일 아침 태양의 일부분이 가려지는 부분일식이 3년 만에 찾아온다. 국립과천과학관은 공개관측회를, 한국천문연구원은 페이스북 실시간 방송을 할 예정이다. 국립과천과학관과 한국천문...
2019-01-05 07:00
주는 기쁨은 사그라들지 않는다
주는 기쁨엔 `쾌락적응 법칙'이 적용 안돼 물건은 쓰면 쓸수록 닳아 없어진다. 생명체도 생장성쇠의 단계를 거쳐 결국엔 사라지고 만다. 인간의 심리 기제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강한 감...
2019-01-04 10:48
소행성 울티마 툴레는 눈사람을 닮았다
인류가 만난 가장 먼 거리의 천체인 소행성 울티마 툴레는 눈사람 모양의 길쭉한 천체로 드러났다. 미 항공우주국(나사)은 심우주 탐사선 뉴호라이즌스가 65억km 거리의 울티마 툴레를 근...
2019-01-03 08:54
초강력에너지 우주입자의 ‘고향 찾기’ 가설 제시
국내 연구팀이 21세기 천문·물리학계의 난제 가운데 하나인 ‘초고에너지 우주선의 기원’을 풀 단서를 제시했다. 울산과기원(UNIST) 자연과학부 류동수 교수 등 국내 공동연구팀은 3일 “극...
2019-01-03 04:00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