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새는 아빠한테 배운 노래를 갈고닦아 구애한다
국내 연구팀이 아기 새는 아빠 새한테 노래를 배운 뒤 실력을 갈고닦아 최상의 음정으로 노래를 부르며 암컷을 유혹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한국뇌연구원은 16일 “고지마 사토시 책임연...
2018-10-16 10:52
현미경에 담은 생물의 신비 ‘베스트 10’
일본의 카메라업체 니콘이 주최하는 현미경 사진 공모전 '니콘 스몰 월드' 입상작이 발표됐다. 이 공모전은 과학과 예술의 영역을 아우르는 놀라운 사진들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에 44...
2018-10-15 15:11
“장내미생물처럼 식물엔 뿌리미생물이 중요”
미생물, 특히 세균(박테리아)을 퇴치해야 하는 병원체 정도로 여기던 시절이 있었지만, 근래에는 장내 미생물의 생태 균형은 우리 몸 건강의 요건으로 얘기된다. 젖산균 또는 유산균처럼 몸 ...
2018-10-15 11:34
호킹의 마지막 경고 “이번 세기, 유전자조작 초인류 등장”
지난 3월 세상을 떠난 세계적인 천체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유고집을 통해 “유전자 조작 초인류의 등장으로 나머지 인류가 도태”될 위험을 경고했다. 해당 내용은 호킹이 말년에 작업하...
2018-10-15 11:02
데이터, 모으지 않고 연결만 한다…웹 창시자의 반격
‘월드와이드웹의 아버지’로 불리는 팀 버너스 리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지난달 28일(미국 현지시각) “디지털 거대기업에 개인 데이터를 넘겨야지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지금...
2018-10-15 06:00
‘보디가드 박테리아’, 식물 질병 막아주다
식물 뿌리와 주변 흙에는 매우 많은 미생물이 뿌리와 상호작용하며 산다. 뿌리 근처의 흙 1g에는 수만 종의 박테리아가 수억, 수십억마리나 산다고 알려져 있다. 게중엔 식물을 괴롭히는 것...
2018-10-15 06:00
비명에 간 구한말 ‘전신선’ 개척자 김학우
매년 한글날이면 여러 기념행사가 열리지만 ‘김학우 컨테스트’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서 개최하는 이 행사는 금년에 13회째를 맞이했다. 김학우는 우리나라 최초...
2018-10-15 06:00
2025년 인공태양이 뜬다…반환점 지난 국제핵융합실험로 건설
“인류는 일찍이 이렇게 큰 공학적 구조물을 만든 적이 없습니다.” 프랑스 남부 마르세이유에서 1시간 거리에 있는 카다라슈저수지 인근 180㏊(54만평) 부지에 건설 중인 국제핵융합실험로...
2018-10-14 12:19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