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3D 프린터로 ‘인공 눈’ 만들었다
미국 미네소타대 연구팀이 3D 프린터로 ‘광 수용체’를 쌓아올려 반구 모양의 ‘인공 눈’을 제작했다. 연구팀의 성과는 미래에 시각 장애인에게 시력을 제공하거나 비장애인에게 더 높은 시력...
2018-08-29 11:05
88올림픽 벤 존슨의 ‘삼일천하’ 도핑 충격
1988년 9월28일 화요일 새벽 2시, <아에프페(AFP)> 통신의 찰리 웰런(Charlie Whelan)은 갑작스런 전화벨 소리에 잠을 깼다. 아에프페 서울 지국장의 전화였다. 잠시 뒤 올림픽 기자촌...
2018-08-29 10:49
국제연구팀, 꿈 안 꾸는 쥐 만들었다…수면장애 치료 기대
과학자들이 유전자 조작을 통해 잠자는 동안 꿈을 꾸지 않는 쥐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일본 이(理)화학연구소 등이 참가한 국제연구팀은 잠자는 동안에도 뇌는 깨어있는 상태인 '렘수면'에 ...
2018-08-29 10:43
‘소리→전기신호 변환’ 청각 통로 단백질 규명
뇌에서 소리를 지각하려면, 소리 자극은 먼저 생물학적인 전기신호로 바뀌어 뇌 신경에 전달돼야 한다. 소리가 전기신호로 바뀌는 변환 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청각 세포 연구...
2018-08-28 16:36
쇄빙선 없이 북극해 건넌다…온난화의 선물?
덴마크의 화물 컨테이너 선박이 쇄빙선의 도움 없이 북극해를 통과하는 역사적인 운항에 나섰다. 기후변화로 인해 북극의 얼음이 크게 녹으면서 가능해진 일이다. 북극의 기온 상승 속도는 ...
2018-08-28 08:25
인공지능 만난 홈로봇 본격시대 열릴까
체코 극작가 카렐 차페크가 1920년 초연한 연극 ‘아르.유.아르.’(R.U.R.)에서 ‘로봇’이라는 말을 처음 쓴 지 98년이 지났다. 지금까지 다양한 로봇이 공장과 군대 등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연...
2018-08-27 10:07
“내게 유전자가위는 경이롭고도 두려운 미래”
생물학과 의학의 풍경을 바꿔놓고 미래 유전자 치료술로도 주목받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의 개발 주역인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 교수(사진)는 인류가 이 기술의...
2018-08-27 09:58
우주에서 야생동물 추적해 한눈에 본다
지난 15일 국제우주정거장(ISS)의 러시아 모듈 즈베즈다 외부에 한 대형 안테나가 설치됐다. 2명의 러시아 우주비행사가 7시간이 넘는 작업 끝에 설치한 이 안테나의 1차 임무는 사람이 아닌...
2018-08-24 16:25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