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양교 통합..불투명, `지원축소' 우려도
KAIST(한국과학기술원)과 ICU(한국정보통신대학교) 통합작업이 새 정부의 부처 통폐합 등 뜻밖의 `복병'을 만나 난항을 겪고 있다. 3일 양 대학에 따르면 출범을 앞둔 새 정부가 KAIST의 상급 부처인 과학기술부와 ICU 관장부서인 정보통신부를 각각 해체해 교육과학부, 지식경제부 등으로의 통폐합을 추진하면서 오는 8월까지 완료하려던 두 대학의 통합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두 부처의 통폐합도 과학기술계의 반대와 정치권의 공방 등으로 확정 여부가 안갯속이어서 두 대학은 통합 논의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ICU는 당초 지난달까지 통합기본계획안을 마련해 구성원의 의견수렴, KAIST와의 협의 등을 거쳐 이달말 이사회의 승인을 받은 뒤 양해각서 체결, 대학 정관 개정 등 KAIST와의 통합에 본격 나설 계획이었다. 특히 ICU는 통합을 전제로 그동안 정통부로부터 매년 지원받던 학교운영예산 75억원을 올해부터 받지 못하게 돼 학교 적립기금(1천억여원)에서 운영 예산을 빼써야 할 처지다. ICU의 한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통합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나 정부 조직이 정리가 안돼 통합논의가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현재로서는 모든 게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KAIST 내부에서도 ICU와의 통합에 부정적인 기류가 나타나고 있다. KAIST는 ICU 인수를 통해 정부의 예산 지원과 정통부 산하 통신업체의 연구비 지원 등을 내심 기대했으나 정통부가 사라지면 대규모 지원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더구나 KAIST의 소속이 과기부에서 교육부로 바뀌면 정부 지원 예산이 축소될 것이란 우려 속에서 ICU를 떠안을 경우 조직 비대화 등으로 학교 운영에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란 시각도 있다. 이에 따라 ICU와의 통합 등에 대비해 공과대학에서 IT분야를 분리, 정보과학기술대학을 신설하고 IT 콘텐츠 관련 학과인 정보디자인경영학과를 새로 만들기로 한 KAIST의 `2단계 개혁구상'에도 적지않은 차질이 예상된다. KAIST의 한 관계자는 "ICU와의 통합에 따른 예산 지원없이 조직만 떠 안을 경우 학교 운영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며 "새 정부의 입장이 정해져야 통폐합 논의가 본격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