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03.05 20:32
수정 : 2008.03.05 20:32
|
김도연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
김도연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김도연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5일 “(과학기술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건 과학기술 연구비를 어느 분야에 얼마를 쓰느냐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이런 업무를 총괄할 국가과학기술위원회(위원장 대통령·국과위)에 민간위원들을 모시고 국과위를 잘 운영해 불만이 없게 체제를 바꾸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위는 국가 과학기술정책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당연직위원(장관)과 민간위원 등 20여명으로 구성되며 국과위 사무국 기능은 교육과기부가 맡는다.
김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교육부와 과기부의 통합으로 과학기술 분야가 홀대받지 않겠느냐는 일부의 우려에 대해 “솔직히 교육 분야의 업무량이 많고 온국민의 관심도 교육에 쏠려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지만 스스로 그런 우려를 잘 알고 있기에 업무량을 배분해 최대한의 관심을 기울이려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두 부처의 통합으로 업무 조정 대상이 되는 학술진흥재단과 과학재단과 관련해선 “궁극적으론 두 기관이 합쳐져야 하겠지만 지금은 합치는 방안과 따로 운영하는 방안의 장단점을 따져 처리하겠다”며 “현재로선 아무런 방침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정부출연연구소에 대해선 “조직을 자주 흔드는 건 옳지 않다”면서도 “자율적인 내부 경쟁체제를 갖추는 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과학 교과과정에 대해선 “교과과정에 여러 문제가 있다는 얘기를 꽤 많이 듣고 있다”며 “하지만 내가 옳다고 어떤 뱡향으로 몰고가는 건 옳지 않고 최소 50% 이상을 설득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대통령께서 (임명장을 주면서) 교육 문제에도 과학적 접근방법이 필요할지 모르고 새로운 돌파구가 열릴 수도 있다며 격려했다”는 일화를 소개했다.
글 오철우 기자, 사진 교육과학기술부 제공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