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4.08 20:37 수정 : 2008.04.08 20:40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을 태우고 역사적인 우주비행에 나설 소유즈 로켓 TMA-12가 발사를 하루 앞둔 7일 오후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내에 웅장한 모습을 드러낸 가운데 대한민국 참관단이 태극기를 흔들며 성공발사를 기원하고 있다. 바이코누르/우주인공동취재단

한국 최초 우주인을 태운 러시아 소유스 우주선이 성공리에 발사되면서 한국과 러시아 간 우주협력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우주인 사업을 위해 한국 정부는 260억 원을 투입했다. 러시아에는 우주인 훈련과 소유스 발사 비용 등으로 2천500만 달러를 지불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002년부터 러시아와 협력해 100kg급 인공위성 발사를 목표로 소형 위성 발사체 개발을 진행해 왔다.

2004년 9월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모스크바 방문 시 정부간 `우주기술협력 협정'을 체결, 러시아의 앞선 우주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하지만 협정 발효가 2년이나 늦어지면서 협력 사업은 표류하는 듯 했고, 2006년 10월 체결된 한.러 우주기술보호협정(TSA)도 1년 후인 지난해 7월에서야 공식 발효됐다.

우주기술보호협정은 러시아가 한국 측에 우주기술을 제공할 경우 이를 제3국에 넘기지 않을 것을 약속하는 일종의 세이프 가드로 기술이전에 목매달고 있던 한국 정부에겐 한시가 급한 문제였다.

결국 지난해 12월로 예정돼 있던 소형위성 발사체(KSLV-Ⅰ) 발사가 1년 가량 늦어졌다.

또 한국형 소형우주발사체의 1단 로켓의 경우 공동설계나 조립 등 공동개발이 아니라 러시아로부터 직수입해 사용하는 형태가 됐다.


러시아 정부는 원천 기술이 국가 안보와 직결된다고 보기 때문에 기술 이전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세르게이 이바노프 러시아 제1부총리가 "한-러 우주협정이 우주에 대한 연구와 평화적 이용이라는 기본 토대에서 이뤄진 것이지만 우주선과 발사체 등의 개발과 운용을 포함한 첨단 기술을 보호하려는 조치들에 대한 동의도 포함된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한국은 현재 다목적 위성을 지구 궤도에 근접시킬 첫 번째 로켓 보조추진 장치 발사를 계획 중이며 이 프로젝트에는 러시아 발사체 개발업체인 흐루니체프사와 보조로켓 장치를 개발하고 있는 에네르고마쉬 연구개발위원회 및 다른 러시아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위성체 분야에서는 한국은 상당한 기술 수준에 도달해 있지만 발사체 기술은 아직 미비하다.

따라서 한국이 목표한 2015년 우주산업 세계 10위권 진입에 한걸음 더 바짝 다가가고 이후 한국형 발사체(KSLV-Ⅱ) 개발 사업과 2020년 달 탐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러시아와 기술 협력 절실한 상황이다.

한국의 대(對) 러시아 과학기술협력은 기존의 미.일 위주의 기술협력 체제에서 탈피, 선진국의 과학기술 보호주의 강화에 따른 첨단기술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한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우주인 배출 사업이 양국 간 우주 협력에 가속 페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10월 양국이 합의한 우주.전자 부품 분야의 합자회사 설립과 액체 로켓 연구개발을 위한 실무협의회도 구성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또 이소연(29)씨에 이은 제2의 우주인 사업을 통해 러시아와 지속적인 교류를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국 항공우주연구원 조광래 발사체 사업단장은 "우주협력 사업은 신뢰가 가장 기초가 되는 일로 러시아 소유스 우주선을 통해 한국인 첫 우주인이 탄생함에 따라 신뢰를 더욱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駐)러 한국대사관 최원호 과학관은 "한러 우주협력 교류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이며 이후 사업 진행에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러시아 우주인과 한국 우주인이 나란히 우주로 올라가는 것을 보면서 양국 관계가 더욱 가까워진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12월 과학기술위성 2호를 실은 소형위성발사체가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면 한국은 세계 9번째로 위성발사에 성공한 국가가 된다.

남현호 특파원 hyunho@yna.co.kr (바이코누르<카자흐스탄>=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