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9.10 18:41 수정 : 2008.09.10 21:21

시민배심원회의 셋쨋날인 지난 6일, 배심원들이 전문가와 함께 국가 위기관리 체제와 시민 참여에 관해 토의하고 있다.

‘국가 질환 대응책’ 시민회의

20대 병원 물리치료사와 대학생, 보건소 계약직 공무원부터 50대 주부, 학원 상담실장, 60대 영어회화 프리랜서, 부동산 임대업자까지. 70대 무직의 할머니도 눈에 띈다. 지난 6일 낮 서울 올림픽파크텔 2층 회의실에 모인 14명의 보통 사람들은 서울·경기 지역에 살면서 무작위로 뽑힌 시민배심원들이다. 2주에 걸쳐 주말 1박2일씩 나흘 동안 숙식을 함께하며 과학 토론을 강행군 중이었다.

‘국가 재난질환 대응체계에 대한 시민배심원회의’를 주관한 시민과학센터의 이영희 가톨릭대 교수(과학사회학)는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치는 과학기술 정책에 시민이 참여하는 길은 너무 적다”며 “평범한 시민들이 전문가와 토의하며 건전한 상식 수준의 정책 권고안을 함께 만들어 보자는 취지로 이런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30~31일에 이어 셋쨋날을 맞은 이날 배심원들은 조류 인플루엔자(AI)라는 재난질환에 대처하는 국가 대응체제가 제대로 가동하는지 집중 토의를 벌였다.

지난 7일 배심원들이 ‘작지만 소중한’ 정책 권고안을 마련해 발표했다. 배심원들은 조류 인플루엔자 예방 교육용 공익광고를 늘리고(19.05%), 언론은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15.48%) 한다고 권고했다. 또 조류 인플루엔자 대응에 관한 시민 활동의 언론 보도를 늘리며(13.10%), 국가 대응체계에 대한 시민 참여를 활성화해야(11.90%) 한다고 주문했다.

글·사진 오철우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